올해 1~5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10대가 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200건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년 동기보다 25배 늘어난 수치다. 집값이 더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자녀 명의로 주택을 사두려는 수요가 늘어난 데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19일 국토교통부가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에게 제출한 ‘광역 시·도별 연령대별 자금조달 계획서 제출건수’에 따르면 올해 1~5월 10대가 수도권에서 보증금 승계 및 임대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한 건수는 총 203건으로 작년 동기(8건)보다 약 25배 증가했다. 보증금을 승계하거나 임대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했다는 것은 전세 혹은 월세 보증금을 활용한 갭투자가 이뤄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지역별로는 이 기간 △경기가 1건에서 98건으로 △인천은 0건에서 36건으로 △서울은 7건에서 69건으로 각각 늘었다.
특히 올해 수도권에서 이뤄진 10대 갭투자 10건 중 6건은 빌라 등 비(非)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10대 갭투자 69건 중 61건(88.4%)이 비아파트였다. 아파트값이 워낙 비싼 탓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빌라 등에 10대 갭투자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 경기(43.9%)와 인천(47.2%)의 비아파트 갭투자 비중도 높았다.
전문가들은 집값이 더 오를 것이란 기대감에 보증금을 끼고 자녀에게 집을 미리 사주거나, 자녀 이름을 빌려 집을 산 부모가 늘어난 결과라고 봤다. 정부는 지난해 6·17 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 내 갭투자를 차단하는 정책을 내놨다. 해당 지역 내 3억 원을 넘는 아파트를 취득할 경우 전세 대출을 회수하기로 한 것이다.
안성용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 부동산팀장은 “10대는 대부분 부모와 같이 살아서 전세 대출 회수 규제가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며 “부모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개발 가능성이 높은 빌라 등을 자녀 명의로 사두는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