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올해 들어서만 구직기간이 4개월 넘는 실업자가 월평균 4만9000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대면서비스업 중에서도 키오스크 도입 등 자동화가 빠른 직업군의 취업자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21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연구보고서 ‘코로나19의 상흔-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구직기간 4개월 이상인 장기 실업자 수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월평균 4만9000명 증가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직전인 지난해 2월과 올해 6월을 비교하면 장기 실업자는 26.4% 급증했다. 같은 기간 구직기간 3개월 이하인 단기 실업자가 15.5%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보고서는 실업 상태가 길어질수록 일자리 찾기를 아예 포기하는 구직 단념자가 늘어나는 것은 물론이고 실업자의 노동시장 재진입이 어려워져 고용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장기 실업자의 구직단념전환율은 21.1%로 단기 실업자(11.9%)보다 9.2%포인트 높았다. 구직단념전환율은 실업자 가운데 3개월 이내에 구직 단념자가 된 경험이 있는 사람의 비율을 뜻한다.
반대로 취업 전환율은 장기 실업자가 32.3%로 단기 실업자(37.9%)를 밑돌았다. 특히 장기 실업자 중에서도 여성과 취업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취업 전환율이 눈에 띄게 낮았다. 같은 장기 실업자라도 여성의 취업 전환율은 30.9%로 남성(33.4%)보다 낮았다. 취업 경험이 없는 경우도 25.0%로 취업 경험이 있는 경우(37.0%)보다 12%포인트 낮았다. 송상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실업 기간이 길어지면서 ‘이력 현상’으로 여성과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청년층의 취업이 더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거래가 확산되면서 자동화 확률이 70%가 넘는 ‘자동화 고위험 직업군’에 속하는 일자리도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대면서비스업 중 자동화 고위험 직업군의 취업자는 2017년 4월보다 10.8% 줄었다. 같은 기간 자동화 저위험 직업군의 취업자 수는 2.4% 감소하는 데 그쳤다.
보고서는 “대면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자동화 고위험 직업군의 경우 2018년부터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데다 코로나19의 고용 충격도 커 앞으로 일자리가 로봇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들의 원활한 일자리 이동을 지원해 실업 충격을 최소화하고, 구인·구직난 완화 등을 통해 중소기업 채용 확대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2021-07-21 15:39:34
코로나로 자영업 경기 최악인데 귀족노조 기본급 올리기 위한 최저임금 폭등으로 일자리를 대거 없애버린다. 파렴치한 문재인에게 인간의 양심이 있을까?
2021-07-21 16:50:03
재앙정권은 경제돌아가는 것도 모르고 최저임금 상승과 근로시간 단축을 통하여 일자리를 없애고 있다. 선무당이 사람잡는다고 아무것도 모르면서 펼친 정책이 없는 자들을 나락으로 떨구고 있다. 하지만 어쩌겠노 개, 돼지가 당해야지
2021-07-21 16:03:48
유튜브에서 131270thebest를 검색시청하시면 신의 존재증명,천국과 지옥,축복 과 저주,구원 받는법,기도하는 방법,성령받는 방법,악의 존재이유,요한계시록,최후의 심판,이긴자와 144000,유일신,정의,양심과 구원,등등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