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년 안에 1800개의 5세대(5G) 통신 전문기업이 등장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 발굴과 보급에 나선다. 2023년부터 5G 특화도시를 구축하고 비대면 교육을 위한 스마트스쿨 등 사회 현안 해결에도 5G 기술을 적용한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 산업 육성 및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해 제5차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영상회의로 열고 관계 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을 발표했다.
5G는 이전 세대의 통신 기술과 달리 다양한 서비스 영역에 적용돼 산업과 사회 전반에 혁신을 가져다주는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디지털 뉴딜의 성공을 위해서는 5G+ 융합서비스 확산을 통한 디지털 전환이 필수적이다.
정부의 전략은 사회 문제 해결에 5G 적용을 확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초실감 비대면 교육을 위한 스마트 스쿨 △산업현장의 안전사고 예방 △재난 대응을 위한 이동형 의료서비스 △사각지대 없는 치안 서비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피해 경감을 위한 메타버스 마켓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미 기반 조성에 나선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실감콘텐츠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시티 등 5대 핵심 서비스에 대해서는 지금까지의 기술 개발과 실증 성과를 바탕으로 분야별 후속 지원을 이어가 성과를 만들기로 했다. 5G 기술과 서비스의 실증·활용을 위한 모델로서 5G+ 특화도시도 추진한다. 내년에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2023년부터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과기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5G가 적용된 현장은 올해 195개에서 2023년 630개, 2026년 3200개로, 5G 전문기업은 올해 94개에서 2023년 330개, 2026년 1800개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전략위원장인 임혜숙 과기부 장관은 “격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5G는 국가 경쟁력의 미래가 걸린 중요한 정책 과제”라며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5G+ 융합서비스가 민간 중심으로 발굴·확산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