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최초 내집마련 늦어졌지만 ‘영끌’ 청년층은 어려졌다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8월 23일 12시 19분


코멘트
지난해 집값 고공행진이 이어지면서 생애최초 주택마련 가구주의 평균연령이 최근 4년 새 가장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년가구의 연령은 오히려 소폭 낮아졌다.

또 내 집 마련 때 주택가격(주택담보가치) 대비 금융기관 대출금 비율(LTV)이 일반가구는 최근 4년 새 가장 낮아진 반면 청년가구는 가장 높았다. 청년층이 ‘패닉바잉(공황구매)’와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아 대출받기)’에 적극 나섰음을 보여준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의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특성/일반가구 연구보고서’를 국토교통 통계누리 사이트에 게재했다. 주거실태조사는 2006년 이후 2년에 한 번씩 실시되다가, 2017년부터 매년 진행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국토연구원이 지난해 7~12월까지 5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 생애최초 내 집 마련 가구주 평균 나이 39.9세
보고서에 따르면 생애 최초로 내 집을 마련하는 가구주의 연령은 지난해 39.9세였다. 현 정부가 출범했던 2017년 39.1세에서 2018년 39.4세로 높아진 뒤 2019년에 39.1세로 다시 떨어졌다가 이번 조사에서 껑충 뛰어올랐다.

또 최근 4년 새 내 집을 마련하는 데 성공한 가구주의 평균 연령도 43.7세로 전년(42.8세)보다 크게 높아졌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지역이 40.3세로 비수도권 지역(39.6세)보다 높았다.

이밖에 신혼부부나 노인가구, 소득하위가구 등도 모두 지난해 내 집 마련 가구주의 평균 연령이 가장 높았다.

이런 결과는 지난해 집값이 고공 행진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집값 상승률은 5.36%로, 2011년(6.1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청년층 가구주의 평균연령은 28.7세로 전년(28.6세)보다는 높아졌지만 2017년(28.8세)이나 2018년(29.0세)보다는 낮아져 눈길을 끈다. ‘영끌’에 그만큼 적극적으로 나섰음을 반증하는 셈이다.

● 청년층 LTV로 확인된 영끌
실제로 이런 상황은 LTV 조사 결과에서도 확인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 가구의 주택 구입 당시 LTV는 평균 37.2%이다. 이는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노인가구(33.0%)와 소득하위가구(36.5%)도 모두 최근 4년 새 가장 낮았다.

반면 청년층(46.3%)과 신혼부부(43.6%)의 LTV는 40%선을 훌쩍 넘었다. 특히 청년가구는 2017년 45.7%에서 이듬해(45.6%) 소폭 떨어진 뒤 2019년(46.3%)부터 다시 오름세로 바뀌었다.

지역별로는 모든 특성가구에서 비수도권의 LTV가 높아 눈길을 끈다. 특히 청년층의 경우 수도권은 44.6%였고, 비수도권은 무려 47.7%나 됐다. 신혼부부도 수도권은 42.9%인 반면 비수도권은 44.1%였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정부의 각종 부동산 관련 대출 규제에 노인가구와 하위소득계층은 영향을 받지만 공격적인 투자 성향을 갖기 쉬운 청년층과 신혼부부들이 오히려 패닉바잉과 영끌에 적극 나서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내 집 마련 방법, 기존주택 구입이 60% 이상
이번 조사에서 내 집 마련 방법은 기존주택 구입이 60.8%로 가장 많았고, 신축건물 분양 및 구입(21.7%), 증여 및 상속(11.6%)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만 기존주택 구입은 2017년 63.3%에서 지난해 60.8%로 2.5%포인트 줄어든 반면 신축 분양 및 구입은 같은 기간 17.8%에서 21.7%로 3.9%포인트 높아졌다.

수도권 거주가구의 경우 비수도권 지역 거주 가구에 비해 ‘기존주택 구입(수도권·66.2%>비수도권·56.9%)’ 및 ‘신축건물 분양 및 구입(24.6%>19.7%)’ 비율은 높았지만 ‘증여 및 상속(6.9%<15.1%)’의 비율은 낮았다.

신혼부부가구의 경우 일반가구에 비해 ‘기존주택 구입(66.8%)’과 ‘신축건물 분양 및 구입 (29.8%)’ 비율이 높았다. 반면 ‘증여 및 상속(2.8%)’은 일반가구보다 크게 낮았다.

노인가구와 소득 하위 가구의 경우 ‘증여 및 상속’의 비율이 각각 22.2%와 25.4%로 일반 가구의 수준을 크게 웃돌았다. 또 두 조사대상 모두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 지역에서 증여 상속 비율이 높았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