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스트의 마켓뷰]캐피털사 실적 호조, 착시일까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0월 5일 03시 00분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올해 캐피털사의 실적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상반기(1∼6월)에만 지난해 연간 실적에 맞먹는 이익을 거둔 회사도 많다. 하지만 이 같은 실적 호조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 조치에 따른 착시 현상이라는 우려도 있다.

당초 9월 말 종료 예정이던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 조치가 내년 3월까지로 다시 연장됐다. 현재로선 만기 연장 종료 이후 연체율이 실제 어느 정도 상승할지, 건전성이 어느 정도 악화될지 알기 어렵다.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 조치는 대부분 은행권에서 집행됐고 캐피털사를 포함한 제2금융권의 규모는 매우 작다. 7월 말 전체 금융권의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 및 상환 유예 규모는 120조7000억 원인데 캐피털사가 포함된 제2금융권에서 만기 연장해준 규모는 3조2000억 원에 불과하다.

하지만 대출 만기 연장 조치가 끝나면 자동차금융, 소액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이 상승할 것으로 보는 게 현실적이다. 소상공인 관련 여신은 대부분 다중 채무여서 캐피털사의 자동차금융이나 소액신용대출 등 가계여신 성격의 자산에 산재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만 연체율 상승 폭은 펀더멘털을 훼손할 정도로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캐피털사,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사의 가계여신이 문제가 된 것은 2003년 카드 사태 때였다. 당시 개인 금융정보가 금융회사 간에 처음으로 공유되면서 금융사들이 경쟁적으로 다중 채무자에 대한 채권 회수에 나섰고 이는 금융시장의 혼란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카드 대란 이후 공유된 금융정보 등을 기반으로 개인의 신용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금융 인프라가 구축됐다. 예를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건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되면 여전사들은 개인신용정보(CB)를 활용해 여신 제공 고객의 범위를 조절하면서 리스크 수준을 통제할 수 있다.

방역당국이 11월 초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방역 체계로 전환을 추진하는 만큼 소상공인의 경영 환경은 개선될 여지가 있다. 또 금융당국이 내년 3월 만기 연장 조치가 종료돼도 상환 유예 대출에 대해 거치 및 상환 기간을 늘려주기로 하는 등 연착륙에 힘쓰고 있다. 이에 따라 소상공인 대출이 급격히 부실화되지는 않을 공산이 크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캐피털사의 실적 호조는 착시 현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실적 호조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도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캐필털사#실적 호조#착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