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인플레 공포 장기화 우려…공급망·수요문제 ‘설상가상’

  • 뉴스1
  • 입력 2021년 11월 14일 07시 23분


© News1 DB
© News1 DB
공급망 차질 문제에 선진국을 필두로 재화에 대한 수요 회복이 강해지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공포가 커지고 있다.

14일 전문가들 사이에선 연내 물가안정의 물꼬를 트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팬데믹 대응 차원에서 시중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을 단기간에 회수할 수 없고, 공급망 차질도 근시일내 해소될 상황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세계경제 쌍두마차인 미국과 중국의 물가가 크게 뛰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6.2% 급등해 1990년 12월 이후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중국의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연료부족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1년 전보다 13.5% 뛰어 26년래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의 10월 소비자물가도 1년 전보다 3.2% 올라 2012년 1월 이후 9년9개월만에 3%대로 올라섰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1일 이같은 현상의 배경으로 ‘공급망 병목’을 거론했다.

이 총재는 “선진국의 빠른 백신보급과 전례 없는 정책지원으로 재화를 중심으로 수요가 강하게 회복되는데 반해 일부의 생산·물류차질이 글로벌 공급망을 통해 확산되며 공급부족 현상이 초래됐다”며 “이러한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물가상승 압력도 크게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도 이를 주요 요인으로 꼽으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각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등 시중에 유동성을 풀었던 것이 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짚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그동안은 수요가 부족해 시중에 돈을 많이 풀었어도 수급이 맞아 인플레가 별로 없었는데, 지금은 코로나19가 다소 안정되며 수요가 늘고 공급은 부족해지자 글로벌 인플레가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도 “공급병목 현상이 가장 큰 원인”이라며 “주요국이 경기회복을 하는데 그동안 끊어졌던 공급망이 원활히 복구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고, 미중갈등 등 정치적 요인이 공급망 단절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하 교수는 탈(脫)탄소 등 친환경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불러온다는 ‘그린플레이션’(Green+Inflation)도 언급했다.

경기회복으로 에너지 수요는 급증하는데 신재생에너지로는 공급량이 따라가질 못해, 공급을 줄였던 화석연료 수요가 다시 늘면서 에너지원 전반의 가격이 급등한 것이 물가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맥락이다.

이같은 추세가 연내 안정되긴 어려워 보인다는 게 대체적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2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1월호)’을 펴내고 대외적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불확실성이 이어진다며 “내년 상반기가 되면 수급차질 요인이 해소되지 않겠냐는 전망들이 나온다”고 했다.

김영훈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주요국 성장세는 둔화 흐름이고 원자재가격 상승, 공급망 차질 등이 인플레 압력을 높이며 당초 우려보다 리스크 요인들이 불거지고 조금씩 길어지는 상황”이라며 “하반기 물가 상방압력이 높은 건 사실”이라고 부연했다.

하 교수는 “지금 물가가 많이 높아진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다면 내년 하반기엔 지금보다는 안정될 수 있지만 이 역시 불확실성이 크다”고 밝혔다.

김 교수도 “글로벌 인플레 우려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한국이 자체 컨트롤하기도 쉽지 않다”며 “금리를 인상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법이 인플레를 조금 낮추는 역할은 할 수 있지만, 대신 경기침체 등 부작용이 나타나니 금리를 많이 높일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해도 내년 대통령선거 이후 새 정부가 지지도를 높이기 위해 재정을 풀 경우 인상 효과가 반감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선 이같은 세계적 물가불안이 고물가와 저성장이 겹치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고도 우려한다.

다만 하 교수는 “내년 경제성장률 자체가 올해보다는 낮지만 회복 추세는 계속되니, 슬로우(지연)라고 부를 순 있지만 침체라고 할 순 없다”고 언급했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