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인구절벽’ 위기가 거론되는 가운데, 결혼을 한 여성이 아기를 낳지 않는 비율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인구총조사과 박시내 서기관과 박혜균 실무관은 통계개발원이 24일 펴낸 ‘KOSTAT 통계플러스’ 겨울호에 실은 ‘저출산 시대, 기혼여성 해석하기’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기혼여성 중 무자녀 여성의 비중은 2010년 4.4%에서 2020년 8.4%로 4.0% 포인트(p) 상승했다. 같은 기간 기혼여성 출산율은 2010년 96.0%에서 2020년 91.6%로 4.4%p 하락했다.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중을 보면 무자녀 기혼여성의 경우 24.2%에 불과해 유자녀 기혼여성(51.8%)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단 추가계획 자녀수는 무자녀 기혼여성이 1.51명으로 유자녀 기혼여성(1.08명)보다 많았다.
25세를 기준으로 한 기혼여성의 미출산율을 보면 최근에 태어난 여성일 수록 미출산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1950~1954년생의 경우 미출산율이 30.5%였고, 1960~1964년생은 44.7%, 1970~1974년생은 65.5%였다. 1980~1984년생은 85.2%로 크게 높아졌다.
통계청은 “혼인과 출산 지연 현상으로 출산 이행률 곡선도 우하향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슈분석 ‘사회적현물이전을 반영한 소득통계 시험작성 결과’에서는 권동훈 통계청 복지통계과 사무관, 진영원 주무관이 정책효과 분석에 필요한 통계수요에 맞춰 사회적현물이전(무상급식·무상보육·의료비 지원 등)을 반영한 소득통계를 시험작성, 소득분배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했다.
이들은 사회적현물이전을 반영한 지니계수를 비교했을 때 반영 전 0.339였던 지니계수가 의료부문을 반영했을 때 0.305, 교육부문을 반영했을 때 0.322, 보육부문 반영시 0.336으로 낮아져 소득분배지표가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통계프리즘에서는 주재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데이터센터장이 국제성평등지수를 통해 한국의 성평등 수준을 분석했다. 주 센터장은 유엔개발계획(UNDP)의 성불평등지수(GII)와 세계경제포럼(WEF)의 성 격차 지수(GGI)를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의 성평등 수준은 인간개발과정에서는 낮지만 참여·기회·배분 영역에서 성격차가 매우 큰 국가로 파악했다.
‘AI 온라인 가격정보 정제 방안’에서는 안상건 통계청 사무관과 정언진 주무관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사용한 ‘온라인 가격정보 정제 시스템을 활용하면 온라인에서 수집한 대량의 데이터에 대해 품목과 단위 정보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데이터 사이언스 포럼에서는 ’초거대 인공지능 언어모델 동향 분석‘을 주제로 임수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 언어모델의 특성과 동향에 대해 분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