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미국 증시는 투자 난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희망이 각종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위협받고 있다. 지난 2년간 쏟아부은 정부의 정책 여력도 힘을 잃을 수 있다. 미국 경제와 기업 이익의 개선 속도가 작년이나 올해에 비해 낮아지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미국 경제성장률은 올해 6.0%에서 내년 5.2%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통화기금(IMF) 등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의 주당순이익(EPS) 증가율은 올해 49.8%에서 내년 8.3%로 기저효과를 감안해도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해 3월 이후 상승장을 경험해 온 투자자들로선 내년 미국 증시의 투자 난도가 높게 느껴질 것이다.
미국 증시의 향방을 좌우할 변수는 세 가지다. 첫째, 공급망 병목 현상이다. 이는 일손 부족에 따른 임금 상승과 함께 고물가의 주범이기도 하다. 신흥국의 백신 보급이 늘고 동남아시아의 제조업 생산이 회복되면 내년 상반기(1∼6월) 중 병목 현상은 완화될 것이다.
둘째,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다. 금리 인상은 유동성 회수를 알리는 신호탄인 만큼 과열 꼬리표를 달기 시작한 미국 증시가 성장주를 중심으로 조정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셋째, 미국과 중국 등 주요 2개국(G2) 갈등으로 빚어진 미래 산업에 대한 자국 내 공급망 구축이다. 그동안 미국은 비교 우위 기반의 아웃소싱에 주력했지만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해 자국 내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변화를 주도하게 됐다. 이는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하는 조 바이든 행정부 주도의 산업 정책과 맞물려 미국 증시에 힘을 보태는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에는 본격적인 긴축 전환기 진입에 발맞춰 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할 안전하고 실효성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변동성이 낮은 고배당 종목과 실적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섹터를 선택하는 게 필요하다. 정보기술(IT), 헬스케어, 전기차 및 2차전지, 우주항공, 메타버스 등의 성장주는 중기적 관점에서 증기 조정기마다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이 유리하다.
내년 S&P500지수 중 이익 개선 폭이 큰 섹터는 에너지(31.4%), 경기소비재(28.1%), 산업재(19.6%)다. 이 중 에너지와 산업재는 최근 10년간 연간 배당수익률이 각각 2.8%, 2.1%로 S&P500지수 평균 배당률보다 높다. 이익 모멘텀과 고배당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셈이다.
내년 미국 증시는 하반기(7∼12월)로 갈수록 증시 변동성이 완화되면서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인상에도 여전히 금리 수준이 낮고 성장률이 이자율을 웃도는 투자 환경을 고려하면 미국 증시의 위상은 굳건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