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시간이 갈수록 빨라지는 글로벌 ‘재정긴축’ 추세에 한국은행의 2월 금리인상 카드가 또다시 급부상하고 있다.
일각에선 대통령선거와 한은총재 교체기 변수 탓에 인상 시기를 늦출 수 것이란 분석과 ‘실기론’을 의식한 한은이 여지없이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주장이 팽팽히 맞선 상태다.
2일 국회와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지난 주 서울 아파트값은 24일 기준 전주 대비 0.01%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값이 하락을 기록한 것은 2020년 5월 4주 이후 약 1년 8개월 만에 처음이다.
서울 하락세는 외곽 지역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노원구를 비롯해 도봉구와 강북구 등 이른바 노도강 지역이 동반 하락세를 기록했고, 은평구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강남3구로 꼽히는 송파구도 보합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멈췄다. 강남구와 서초구 등도 상승률이 보합 수준인 0.01%에 그쳤다.
지난해 8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상 단행으로 부동산시장의 자금 흐름이 이미 추세적 하락세로 기울고 있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각종 부동산 선행지표도 집값의 ‘우하향’ 기조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 지난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9.3을 기록해 2019년 7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처음으로 80선을 기록했다.
수급지수는 0~200 사이로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서울 매매수급은 최근 10주째 ‘매수자 우위’다. 강남 3구가 속한 동남권 매매수급도 89.2까지 하락하며 매수세 축소 여파를 비껴가지 못했다.
부동산 시장 선행 지표로 꼽히는 경매 역시 최근 악화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물건 절반 이상이 유찰되고, 낙찰가율도 석 달째 하락했다. 이 밖에 대장주 지표인 ‘KB선도아파트 50지수’ 변동률도 올해 1월 0.4%에 그쳐, 상승폭이 지난해 10월(1.42%)보다 1%포인트(p) 이상 축소했다.
관건은 가계대출 규제와 위축으로 이어지는 금리의 추가 인상 여부다. 부동산 업계에선 당장 이달 24일 한은 금통위에선 금리인상을 쉬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3월 대선을 앞두고 집값하락에 영향을 주는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정책적 부담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한은 총재도 부담을 후임에게 넘겨주는 것이 손쉬운 방법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금융업계에선 시간이 갈수록 2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한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정책은 집값뿐만 아니라, 외환관리는 물론 이와 직결된 국내외 경제 상황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며 “미 연준이 당장 3월 기준금리 인상을 강력히 시사하고, 인상의 속도와 횟수도 추가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부동산시장’만을 위한 정치적 고려를 한다는 것은 안일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금융권에선 3일 공개될 ‘2022년 1차 금통위 의사록’에서 24일 금통위의 결정방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통의원들이 1월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하며 향후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이 총재 의견에 뜻을 함께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14일 금리인상 발표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인상의 배경 중 하나로 금융위험의 불균형을 줄여나갈 필요가 크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를 감안하면 여전히 금리를 추가 조정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기준금리가 1.5%가 된다고 하더라도 긴축으로 볼 수는 없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