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대출로 상투잡은 2030…흔들리는 ‘집값’ 망연자실

  • 뉴스1
  • 입력 2022년 2월 10일 10시 41분


서울 아파트단지(자료사진) 2021.11.5/뉴스1 © News1
서울 아파트단지(자료사진) 2021.11.5/뉴스1 © News1
지난해 20~30세대의 서울아파트 매입 비중이 42%에 육박한 가운데 집값하락 변수가 커지고 있다. ‘영끌’ 대출로 집을 장만한 청년층은 이자부담과 자산가치 하락이라는 ‘이중고’에 빠진 모양새다.

10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에 따르면 지난해 20~30세대(20대 이하 포함)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통계 이래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특히 수도권에서 비중이 높았는데 서울의 경우 지난해 2030 매입 비중이 41.7%로 조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기와 인천도 각각 36.3%, 33.2%로 평균치를 상회했다.

하지만 한국은행이 지난해 8월 이후 세 차례 기준금리 인상(0.50→1.25%)을 단행하면서 ‘영끌’ 청년층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대출이자가 상승한 데다 집값 고점 인식, 대출 규제 등이 맞물리면서 아파트값이 뚜렷한 우하향 기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매물적체가 지속된 가운데 지난주 수도권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0.02%를 기록, 2019년 7월 이후 2년 4개월여 만에 하락 전환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7월 말 정부의 ‘고점’ 경고에도 영끌 매입을 선택했던 청년층은 자산가치 하락과 대출이자 부담을 동시에 직면하게 됐다.

현행 4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 상품의 최고 금리는 연 5%대, 고정금리는 6%를 눈앞에 둔 상황이다. 신용대출 금리 상단도 5%에 근접했다. 여기에 이달 24일엔 추가금리 인상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3% 중반을 넘어서면서 1분기 마지막 금리인상 기회를 놓칠 수 없게 됐다는 평가다. 이미 영국, 캐나다 등 해외각국도 오는 3월 미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앞다투어 긴축재정에 돌입한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정부 안팎에선 최근 2년간 과열된 집값의 안정을 통해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입장이 우선한다. 앞서 ‘고점’ 경고를 통해 영끌매입 자제를 촉구한 정부 입장에선 더 많은 청년층이 부담 가능한 가격으로 주택을 구입하는 환경도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이밖에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영끌족 부담 완화 방안으로 고금리 변동금리 대출에서 저금리 고정금리로의 전환 프로그램을 시행하겠단 계획을 밝혔지만 명확한 대책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한 업계 전문가는 “2030세대 중에서도 부모에게서 자산을 빌려 매입한 경우는 제외하면서도 금융부담이 급증한 ‘영끌’ 청년층에 대해선 선별해서 구제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