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치 끝났다”…300만 개미 물린 네이버·카카오 “나 어떡해”

  • 뉴스1
  • 입력 2022년 2월 25일 08시 23분


네이버와 카카오의 종가기준 6개월간 주가 변화 추이© News1
네이버와 카카오의 종가기준 6개월간 주가 변화 추이© News1
네이버가 종가 기준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카카오도 2% 이상 하락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코스피 낙폭이 커진 시점에서 동학개미가 가장 많이 담은 종목인 두 회사의 주가 하락폭은 유달리 컸다. 전쟁 위기뿐만 아니라 금리인상, 물가상승(인플레이션) 등 근본적인 위협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낙폭 큰 네이버·카카오, 개인 수익률도 ‘처참’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네이버는 6500원(-2.10%) 하락한 30만25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이 회사의 ‘52주 신저가’(연중 최저가)다. 지난해 9월6일 45만4000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불과 6개월만에 주가가 15만2000원(-33.48%)이나 빠졌다.

네이버의 시가총액은 이날 50조원선이 무너지면서 49조6248억원을 기록했다. 사상최고가 당시 시총 74조5756억원에서 24조9508억원이 증발했다. 현재 코스피 시총순위 12위인 포스코의 시가총액이 24조2379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네이버의 시총 증발이 얼마나 큰 폭인지 가늠할 수 있다. 네이버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시총 순위 5위(우선주 제외)를 기록했다.

© News1
© News1
카카오도 2600원(-2.81%) 미끄러진 9만원을 기록했다. 6개월전 15만5500원에서 6만5500원(-42.12%) 감소한 수치다. 카카오는 지난해 12월 경영진의 이른바 ‘스톡옵션 먹튀’ 사건으로 주가가 하락했는데, 미처 회복하기도 전에 또다시 우크라이나 악재를 만나면서 재차 하락하고 있다.

카카오의 시총 역시 6개월 전(69조5976억원)과 비교해 29조4600억원이나 날아갔다. 네이버보다 한발 먼저 시총순위 6위까지 내려왔다.

◇전문가 “성장주 랠리 일단락…섣부른 저점 매수는 위험”

네이버는 지난해 3분기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총 주주수가 78만2893명이다. 그중 지분 1% 미만을 보유한 ‘소액주주’는 78만2829명으로 전체 주주의 99.99%가 소액주주로 구성돼 있다. 소액주주가 보유한 네이버 전체 지분도 67.77%에 달한다. 네이버의 외국인 보유지분이 54.98%라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

카카오의 소액주주는 무려 201만9216명에 달한다. 카카오 역시 소액주주가 전체 주주의 99.99%를 차지한다. 소액주주 보유지분은 61.12%다. 카카오의 소액주주 수는 삼성전자에 이어 코스피 2위다. 사실상 ‘국민주’ 반열에 들었다고 볼 수 있다. 카카오의 외국인 지분은 28.29%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두 회사의 주가 하락은 고스란히 ‘소액주주의 눈물’로 연결된다. 주가가 30~40%씩 하락했다는 것은 개미들이 그만큼 손실을 보고 있다는 것과도 동의어다.

두 회사의 종목토론방 등에는 “저 38층(38만원대에 매수했음을 의미)인데, 다들 몇층에 계신가요?” “저는 41층입니다” “해진이 형 살려주세요. 여기 사람 있어요” 라며 고점에 물린 상황을 비관(네이버 사례)하거나 “0.73%소각, 장난해? 주주가 개돼지야?” “먹튀하더니 주주만 죽어나네”라며 회사를 비난(카카오 사례)하는 등 험악한 말들이 오가고 있다.

특히 개미들은 올 들어 네이버와 카카오가 큰 폭으로 하락하자 오히려 ‘저점’이라 판단하고 적극적인 매수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저점 매수 이후에도 추가 하락이 이어지면서 개미의 손실도 커지는 추세다.

실제 올해 네이버의 개인 순매수는 1조1959억원에 달한다. 외국인이 8375억원, 기관이 3941억원을 각각 순매도한 것에 비해 압도적인 물량을 사들였다. 카카오 역시 개인이 1조3965억원 어치를 사는 동안 외국인은 1조1946억원, 기관은 2350억원 어치를 팔아치웠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유동성 잔치’에 힘입어 각국의 기술성장주가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이제는 금리인상과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이 본격화되면서 ‘잔치가 끝나가고 있다’고 경고했다. 또 성장주의 저점매수는 다소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성장주는 폭발적인 상승만큼이나 상당한 하락 위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면서 “성장주가 고점 대비 단지 20~30% 하락했다고 섣불리 저점 매수에 들어가는 것은 위험성이 있다”고 말했다.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 등에 따른 전세계적인 성장주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축소 과정이 국내 성장주에도 적용된다”면서 “플랫폼 랠리는 단기 일단락된 상황이며 올해 실적흐름도 현재의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정당화할 수준은 아니라는 점을 감안할 때 당분간은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축소 과정이 더 진행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