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의 평균 물가가 31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제유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3.6% 물가상승률을 기록하며 OECD 회원국 중 낮은 수준에 속했지만, 에너지 물가는 10.7% 오르며 7개월째 10%대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7일 OECD 보고서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2%로 지난해 12월(6.6%)보다 0.6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1991년 2월(7.2%) 이후 약 3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OECD 회원국 중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터키로 48.7%까지 올랐다. 터키는 비정상적인 금리 인하 추진과 그로 인한 통화 가치 폭락에 물가가 상승해왔다. 여기에 올해 최저임금을 올린데다가 전기, 가스, 버스 요금 등 가격을 줄줄이 인상하며 물가 상방 압력을 가중시켰다.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도 7.5% 올랐다.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의 최대 폭 상승이다. 영국과 독일의 1월 소비자물가는 각각 4.9%를, 이탈리아는 4.8%를 기록했다.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가장 낮은 나라는 일본으로 0.5% 상승에 그쳤다.
우리나라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OECD 회원국 중 29위를 차지했다.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으로 다른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고물가 현상의 영향을 덜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요 20개국(G20)의 평균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6.5%로 집계됐다. 주요 7개국(G7)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8%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진 가장 큰 이유는 국제유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급등이 꼽힌다. OECD 회원국의 1월 에너지 가격은 1년 전보다 26.2% 상승했다. 터키의 에너지 물가 상승률은 89.4%로 가장 높았으며 벨기에가 60.9%로 뒤를 이었다.
미국은 27.0%였으며 소비자물가가 가장 낮았던 일본 또한 17.9%로 집계됐다. 우리나라는 10.7%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에너지 가격도 지난해 7월부터 7개월 연속 10%대를 웃돌았다. 지난해 11월에는 20.6%까지 오르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이달부터는 전 세계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국제유가, 천연가스, 국제 곡물 가격 상승 등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011년 12월(4.2%) 이후 10년여 만에 4%를 넘을 거라는 관측도 나온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 연속 고물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