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후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꿈틀대던 집값 상승세가 ‘1기 신도시’로 확산되고 있다. 주요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최고가 거래가 성사되면서 상승세로 돌아서는 분위기다. 서울은 강남권과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이어지는 반면 노도강(노원, 도봉, 강북구) 등 중저가 아파트가 몰린 지역은 하락하며 서울 내 집값 격차가 커지고 있다.
1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둘째 주(11일 기준)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아파트값이 지난주보다 0.01% 올라 1월 24일(0.02%) 이후 11주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일산 신도시가 있는 고양시와 산본 신도시가 있는 군포시도 각각 지난주 대비 0.01% 상승했다.
1기 신도시에서는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나온다. 올해 준공 32년차인 성남시 분당구 시범한양아파트 전용면적 84㎡는 이달 5일 신고가인 16억 원에 팔렸다. 준공 29년차 군포시 한양수리아파트 전용 129㎡도 이달 3일 역대 최고가인 9억 원에 거래됐다.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장성4단지 전용 130㎡는 이달 1일 7억9500만 원에 매매돼 신고가를 나타냈다. 고양시 한 공인중개업소는 “대선 이후 재건축 기대감에 매수 문의가 늘어났다”며 “거래가 많지는 않지만 1~2건씩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서울 아파트 값은 2주 연속 제자리걸음을 했다. 강남구가 0.04% 올라 지난주(0.02%) 대비 상승폭을 키웠고, 서초구는 2주째 0.02% 올랐다.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되며 개발 기대감이 커진 용산구는 0.03% 올라 지난주(0.02%)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2016년 준공된 강남구 수서동 더¤포레스트 전용 146㎡는 지난달 24일 역대 최고가인 34억8000만 원에 거래됐다. 서초구 방배동 방배e편한세상2차 전용 163㎡도 3월28일 25억3000만 원에 신고가를 나타냈다.
반면 중저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노원구와 도봉구는 각각 지난주 대비 0.02%, 0.03%씩 하락했다. 강북구도 0.01% 하락했다. 노원구 상계동 포레나노원 전용 75㎡는 이달 1일 12억5500만 원에 거래돼 지난해 12월4일 거래(13억3500만 원)보다 8000만 원 떨어졌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셋값은 0.01% 떨어져 지난주(-0.02%) 대비 하락폭이 줄었다. 서울은 지난주와 같이 0.02% 하락했고, 지방 전셋값도 2주 연속 제자리걸음을 했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1기 신도시나 강남권이나 용산구는 재건축 등 개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라며 “다주택자 매물, 대출규제 등 영향으로 노도강 등 중저가 아파트가 몰린 지역은 하락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