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빅스텝 후폭풍… 주가 추락-환율 年최고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5월 7일 03시 00분


전세계 긴축-경기침체 위험 커져… 아시아-유럽 증시 줄줄이 하락세
원-달러 환율, 1272원 넘어서… 전문가 “한국 자본 유출 우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시작하자 금융시장에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한국 등 아시아와 유럽 주요국 증시가 줄줄이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도 1270원을 돌파해 2년 2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세계 경제에 긴축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 경제는 물가, 금리, 환율까지 동시에 오르는 ‘3고(高)’에 직면했다. 6일 코스피는 전날 대비 1.23%(33.06포인트) 내린 2,644.51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2.06%)를 비롯해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이 약세였다. 네이버(―3.55%)와 카카오(―5.28%) 등 빅테크 종목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성장주 중심의 코스닥지수도 전날 대비 1.76%(15.84포인트) 하락한 884.22로 마감했다. 이는 연준의 금리 인상에도 상승했던 미 뉴욕 증시가 통화긴축과 경기침체 우려로 하루 만인 5일(현지 시간) 급락한 영향이 컸다.


달러 강세에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도 전 거래일보다 6.4원 오른(원화 가치는 하락) 1272.7원에 마감하며 연고점을 경신했다.

미국의 중국기업 증시 퇴출 움직임까지 더해져 홍콩 H지수(―4.33%), 중국 상하이종합지수(―2.16%) 등 중화권 지수의 하락 폭은 더 컸다. 나흘간의 연휴 뒤 개장한 일본 닛케이평균주가(0.69%)만 강보합세였다. 6일(현지 시간) 오후 3시 기준 프랑스(―1.57%), 독일(―1.36%), 영국(―1.12%) 등 유럽 증시도 하락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자본 유출 위험이 크다”며 “통화정책 외에 방안이 마땅치 않아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고 했다.

#美#금리 빅스텝#후폭풍#주가 추락#환율
  • 좋아요
    6
  • 슬퍼요
    4
  • 화나요
    1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22-05-07 09:48:52

    주사파 정부 5년의 결과물이 비참하다. 소득 주도 성장이라는 해괴한 논리를 받어들여 기업의 뿌리를 병들게했고 남아돌던 공무원수를 십만넘게 늘리고 세금, 의료보험비를 강제로 올리고 나라 빚을 늘려 돈을 마구 풀어대며 국민들 피를 빠니 모두 가난을 향하게 됐다

  • 2022-05-07 08:40:13

    주둥이로 이바구짓들 하지말고 좋은 대가리로 물가나 잡아라 서민들은 벌써 끼니를 거른 굶주린 사람들이 나오고 있다 박봉의 직장인들은 요즘 점심을 싸구려빵이나 햇반으로 때우고있다 니들도 반찬도 없이 맨밥 먹어봐라

  • 2022-05-07 14:20:50

    문재인 정부 출범부터 '스테그플레이션' 경보가 발생했는데, 왜냐하면 과잉 유동성이 생산성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 강력한 구축 효과와 수출 편향 정책들, 국가 수지조차 '엔케리'와 환율 조작이란 부의 가격 효과, 산재 증가라는 원가 효과가 내재해 있었고, 내리는 게 맞죠.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6
  • 슬퍼요
    4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