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이 정해졌다. 민간투자 활성화 등을 통한 성장지향형 산업전략을 추진하면서 통상분야에서는 국익과 실용 중심의 전략적 입장을 견지한다는 게 핵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민간’ 성장을 촉진하고, 에너지분야의 경우 공급과 국부창출을 위한 ‘원자력발전’ 활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창양 장관이 1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 정부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이라 명명한 이번 안에는 성장지향 산업전략, 국익과 실용 중심의 통상전략, 에너지 수요·공급부문 혁신과 신산업창출 등 새 정부가 5년간 추진해 갈 3대 전략과 11개 핵심과제가 담겼다.
3대 전략 중 첫째는 ‘성장지향 산업전략’을 통한 산업의 대전환 추진이다.
정부는 민간기업에 대한 규제혁신과 인센티브 지원, 입지 지원 등을 통한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해 투자가 주도하는 성장을 실현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다음은 ‘혁신시스템 고도화’다. 산업R&D체계와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체계를 혁신해 기술과 인재가 주도하는 혁신성장을 추진한다.
산업R&D 발굴·확대를 위해 임기 5년간 10개의 메가 임팩트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혁신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내년 상반기까지 바이오·AI·나노 등 판(板) 기술 분야 창의적 혁신 인재의 체계적 창출을 위한 범정부 추진체계 및 로드맵을 마련한다.
또 ‘산업디지털 융합 아카데미’도입(2023년)을 통해 업종별 지식과 SW개발 역량을 겸비한 첨단산업 융합인재양성을 꾀한다. 오는 2027년까지는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도 10개 이상 지정한다는 구상이다. 이 과정에서 재직자 단기 실무과정 신설(2023년) 등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산업별 전문인력 14만명 양성을 추진한다.
기업 지원체계와 기업제도 혁신을 통한 기업 성장사다리도 복원한다.
이를 위해 중소·중견·대기업 간 급격한 지원격차를 줄이고, 기업규모 중심의 기업 지원체계 등 기업 성장 역행적 인센티브 개편을 추진한다.
중견기업을 위해서는 민관합동으로 40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한다. 중견기업 중심의 협력모델 지원 등을 통해 산업생태계와 공급망의 핵심 연결고리로 육성할 계획이다.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친환경(탄소중립), 디지털, 서비스화 등 제조업의 3대 메가 트렌드 선도를 위해 공정·기술·사업모델 혁신도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산업대전환을 위한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AI로봇 등 첨단산업 육성과 자동차·철강·조선 등 주력산업 고도화도 지원해 나간다. 보다 구체적인 업종별 전략은 추후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3대 전략 중 두 번째는 ‘국익과 실용 중심의 통상전략’이다.
정부는 상대국과의 양자 통상채널을 활용한 기업의 공급 안정화를 꾀하고, 첨단산업 분야 상호투자·기술협력을 통한 공급망 강화를 구축해 나간다.
또 미국 및 유럽 주요국과의 정상회담 후속조치 등을 통해 첨단지식과 인력교류를 촉진, 우리 산업혁신을 가속화한다.
전 세계 추세인 그린·디지털 등 신통상규범 논의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해 우리 기업에 우호적인 대외 경영환경을 조성해간다.
3대 전략 중 마지막은 ‘에너지 공급·수요부문 혁신과 신산업 창출’이다. 에너지관련 정책안은 앞서 발표한 ‘새정부 에너지정책방향’과 궤를 같이 한다.
정부는 원전 비중을 30%이상 확대해 튼튼한 에너지안보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신한울 3·4호기는 환경영향평가를 즉시 개시해 오는 2024년에는 착공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기존 원전들도 ‘계속운전’에 필요한 절차를 신속히 추진해 나간다.
또 그간의 공급 위주 정책을 수요 중심으로 전환해 에너지 다소비·저효율 체제를 개선해 나간다.
에너지캐쉬백 제도를 전국에 도입하고, 30개 에너지 다소비기업과 효율혁신 협약 등을 통해 적극적인 수요효율화에 나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