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소형(전용면적 60m² 이하) 주택의 반지하, 지하층 전세 가격이 올해 상반기(1∼6월) 평균 1억1000만 원을 넘어섰다. 주택시장 매매, 전세 가격이 급등하며 환경이 열악한 반지하·지하 주택마저 주거비 부담이 최근 몇 년 새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동아일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소형(전용 60m² 이하) 빌라(다세대·연립주택) 지하층 전세 거래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평균 전셋값은 1억1569만 원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1년(5704만 원)과 비교하면 11년 만에 전셋값이 2배 이상으로 올랐다. 이 기간 3.3m²당 평균 전셋값 역시 451만 원에서 903만 원으로 2배 넘게 뛰었다.
전셋값 상승세는 최근 들어 가팔라졌다. 서울 소형 빌라 지하층의 평균 전셋값은 2020년 상반기 9087만 원에서 지난해 상반기 1억324만 원으로 13.6% 올랐고, 올해에도 12.1%나 상승했다. 2020년 7월 임대차법이 시행된 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급등하자 아파트에서 밀려난 이들이 빌라 등으로 이주하며 반지하·지하 주택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전세 보증금마저 마련하기 힘든 월세 세입자들의 주거비 부담도 오르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 서울 소형 빌라 지하층의 평균 월세 보증금은 3298만 원, 월 임대료는 38만7900원으로 조사됐다. 2011년(평균 보증금 2289만 원, 월 임대료 31만8800원)보다 보증금은 1000만 원가량 늘었고, 월 임대료도 약 7만 원 올랐다.
전문가들은 무작정 반지하 주택을 없애버리면 주거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일자리 등을 찾아 그나마 교통여건이 좋은 도심 반지하 주택에 살던 이들이 교외로 밀려날 수 있다는 의미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도심은 임대주택 공급이 쉽지 않고, 최근 전월세가 급등해 기존 주거비 지원으로는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어렵다”며 “기존 반지하 주택 침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열악한 곳을 선별해 우선 이주를 지원하는 식의 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