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적자를 나타내는 흐름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유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수출은 둔화하고 수입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6일 ‘BOK 이슈노트-최근 무역수지 적자 원인 및 지속가능성 점검’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무역수지 변동에 대한 기여도를 수출입 단가와 물량으로 분해한 결과 최근 무역수지 악화의 대부분은 수입단가 상승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1~8월 무역수지는 전년 동기 대비 454억달러 감소했는데, 이 가운데 단가요인으로 472억달러가 감소하고 물량요인으로는 18억달러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에너지·석유제품 단가요인에 따른 감소폭(-353억달러)은 올해 1~8월 무역수지 감소폭(-454억달러)의 78%에 달했다.
이 보고서는 자동차·반도체·스마트폰 등 우리나라 주력 품목의 해외생산 확대 역시 무역수지 약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제조업의 해외 생산(매출 기준)은 2010년 2150억달러에서 2019년 3680억달러로 1.7배 증가했으며 국내 제조업체의 해외생산 비중도 상승했다.
보고서는 “당분간 무역수지는 국제유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수출 둔화와 수입 증가에 따른 적자 흐름이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다만 무역적자의 대부분이 수입 급증에 기인하는 만큼 원자재가격이 안정될 경우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선 2021년의 원유 수입과 석유제품 수출입 물량이 불변한다고 가정할 경우 연평균 국제유가가 배럴당 10달러 하락하면 연간 무역수지가 93억달러 개선되고, 유가 하락에 따라 물량이 10%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무역수지는 84억달러 개선된다고 추정했다.
이 보고서는 “경상수지의 경우는 무역적자에도 불구하고 무통관수출 증가, 본원소득수지 흑자 등으로 연간 흑자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나, 당분간 월별로는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며 “경상수지 흑자 기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내 투자여건 개선 및 혁신생태계 조성을 통해 국내 기반 제조업의 수출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