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물가 뛰는데 수출 효과는 적어…환율 쇼크에 기업들 ‘울상’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9월 6일 17시 38분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에서 컨테이너 선적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2.9.2/뉴스1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에서 컨테이너 선적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2.9.2/뉴스1
인도네시아와 중국, 베트남 등에서 펄프를 수입해 키친타올과 화장지를 만들어 미국 등에 수출하는 중소기업 대표 A 씨는 올해 수출이 지난해보다 70%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가뜩이나 비싼 원자재 수입 가격이 더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A 씨는 급등한 원자재 값을 제품 가격에 반영할 수밖에 없었지만, 중국의 경쟁업체들은 반대로 저가 공세를 펼치면서 A 씨의 기존 거래처들을 접수해 나갔다. A 씨는 “펄프 가격이 지난해 말부터 지금까지 50% 넘게 올랐는데 환율까지 올라 달러로 사오려면 사실상 값을 두 배로 치러야할 판”이라며 “가격 경쟁에서 밀려 거래가 끊긴 곳이 이미 여러 곳”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은행이 먼저 중국 펄프 업체에 달러로 대금을 주고 우리가 은행에 3개월 뒤 달러를 갚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는데, 3개월 새 환율이 오르는 바람에 막대한 손해를 보게 생겼다”고 털어놨다.

고(高)환율이 한국 기업에게 ‘축복’으로 불렸던 시대가 저물고 있다. 환율 급등으로 원자재 수입 비용이 크게 늘어난 데다, 수출 경합국의 통화가치도 동반 하락하면서 가격 경쟁력 제고 효과를 누릴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지난 한 달 간 70원 넘게 급등한 환율은 6일도 전날 종가보다 0.3원 오른 달러당 1371.7원에 거래를 마치며 또다시 연고점을 경신했다.

● 원료 수입비용만 오르고 수출 효과는 미미
고환율은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수출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이 과거의 통념이었다. 하지만 올해 무역수지는 수출이 둔화하고 수입이 급증한 영향으로 역대급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환율 급등으로 에너지와 부품 등 생산 요소의 수입 단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소형 가전제품을 만들어 일본에 수출하는 업체 대표 B 씨는 “중국에서 수입해오는 회로나 센서 등 부품 가격이 크게 올랐다”면서 “그런데 막상 일본 거래처는 ‘엔저 시대라 달러로 당신네 제품을 사려면 엔화가 너무 많이 드니 가격을 내려달라’고 요구한다”고 말했다. 생산 비용이 오르는데 제품 가격은 내려야 하다보니 B 씨 입장에서는 마진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B 씨는 “결국 올해 일본으로의 수출량은 두 배 이상 늘었지만 원자재 가격이 20% 오르다보니 이익은 적었다”고 말했다.

일부 업체는 환율 쇼크에 아예 문을 닫기도 한다. 경상도에서 포장용 종이박스를 만드는 업체의 C 대표는 올해 3월 환율이 1200원대로 올라서자 더 이상 해외 납품 단가를 맞추기 어려워 폐업했다. 원자재를 수입해 중간재를 만들어 납품하는 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은 대부분 영세기업이라 생산비용이 올라도 해외 거래처를 상대로 함부로 납품 단가를 올리기가 어렵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올해 6월 중소기업 508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환율 급등으로 피해가 발생했다고 답한 기업은 30.5%나 됐다. 이익이 발생했다는 기업은 19.1%에 불과했고, 50.4%는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 “환율 상승으로 이득” 20%도 안 돼
이런 현상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들도 마찬가지다. 환율이 오르면 기업 입장에서는 원재료 매입비용이 급등하고 달러 부채나 투자 비용이 오르는 등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달러로 유류비와 항공기 리스료를 지불하는 항공업계는 비명을 지르고 있다. 그러나 정작 수출을 늘리는 효과는 이전보다 미미하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분석 결과 원자재 가격과 환율이 각각 10% 상승하는 경우 수입은 3.6% 증가하지만 수출은 0.03% 늘어나는 데 그쳤다. 대한상공회의소 자문위원인 정혁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은 원자재를 수입해 와서 제품을 만들고 해외에 파는 수출구조이기 때문에 생산 과정에서 ‘글로벌 가치 사슬’에 크게 의존한다”며 “반도체나 조선, 자동차 등 원료와 중간재를 수입해 오는 업종은 고환율이라고 해서 무조건 좋은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현금을 확보하는 등 급격한 환율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강력한 통화긴축이 이어지면서 환율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임채운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는 “장기적으로는 소재나 부품, 장비 등을 수입에 의존하지 않도록 한국 경제와 산업의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