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를 모아 대륙붕에 저장하는 기술이 특허를 얻어 미래 탄소중립 실현에 한 발자국 나아가게 됐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육상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액체로 만들어 주입·제어시설을 통해 국내 대륙붕 해저에 넣는 CCS(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방식을 개발해 특허청으로부터 정식 특허로 인정받았다고 6일 밝혔다.
CCS 기술방식은 여러 물질이 혼합된 배출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포집 후 이를 육상이나 해저 심부 지층에 주입해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석유공사는 미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작년부터 이산화탄소 저감기술 개발 및 특허출원 작업을 진행해왔고, 그 결실로 특허청으로부터 최종 등록승인을 얻은 것이다.
이 특허는 해저 지층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선박과 시설의 구성과 운용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주변 해저에 존재하는 다수의 중소규모 해양 저류층이나 염대수층을 상업적 경제성이 있는 이산화탄소 저장전(貯藏田, 석유·가스 등을 시추한 후 남은 빈 공간)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사항으로 알려졌다.
‘이동식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시스템’이란 이름의 이번 특허는 육상 포집 이산화탄소를 액화 수송선을 통해 해저 저장전 수면에 위치한 이산화탄소 주입 선박 탱크로 이송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후 액화 이산화탄소를 해저 제어설비를 통해 최종적으로 저장전 안으로 주입하는 방식이다.
공사는 폭풍 등 해상 기상요인으로 인한 설비탈선 등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선박의 동적 위치유지 시스템(DPS) 및 해저 주입시설의 계류시스템을 정밀하게 운용할 예정이다. 이산화탄소 누출상황에 대비해 무인잠수정(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을 가동해 전 작업 과정을 영상으로 감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방식은 기존 고정식 이산화탄소 주입방식 대비 경제성이 상당히 높은 혁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사용장비 및 시설 설치·철거가 쉬울 뿐더러 해당 장비와 시설을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소규모 저장전이 다수 존재하는 우리나라 해양지형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번 특허 방식으로 여러 저장전을 순차개발하면 기존 방식과 대비해 더 크게 경제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정규 석유공사 글로벌 기술센터장은 “이번 특허권 취득을 발판 삼아 앞으로 이동식 이산화탄소 저장전 시스템의 실증성을 구현하는데 진력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상업성 있는 해양 저장전 전환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조선 및 주입설비의 설계·제작 등 국가 연관산업 활성화에도 적극적으로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석유공사는 현재 국내외 석유개발 업무와 관련한 특허권을 포함해 모두 14건의 기술 및 방식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