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그룹 ‘밝은방’ 예술지원 북토크
안내서 ‘무엇’ 만들어 무료 배포
“반복된 그림속 미묘한 변화 감지”
“처음에는 아들이 ‘무엇’을 그리는지 알 수 없었어요. 그러나 발달장애를 겪고 있는 아이가 할 수 있는 ‘무엇’인가를 한다는 사실만으로도 기뻤습니다. 부모로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기다려주는 것이었습니다. 아이에게 무엇이 되라고 하지 않고,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무엇이 만들어지는지를 끝없이 기다리며 이해하는 것이었습니다.”(발달장애인 창작자 김현우 어머니 김성원 씨)
4일 서울 용산구 청파로에 있는 책방 죄책감에서 창작그룹 ‘밝은방’이 만든 책 ‘무엇’의 북토크가 진행됐다. 밝은방은 독자적인 예술작업을 이어오고 있는 발달장애인 창작자들과 다양한 예술표현을 시도하고 이를 전시회나 책으로 소개하는 창작그룹이다.
밝은방은 지난해 발달장애인의 주변인(부모, 보호사 등)이 발달장애인의 시각적 표현을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안내서 ‘무엇’을 제작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박은실)의 장애인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 ‘만날 사람은 만난다’ 중 하나로 제작됐다.
이날 북토크에서는 발달장애인 창작자인 작가와 부모, 예술 매개자로서의 밝은방 운영자, 진흥원 관계자가 참석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발달장애인 창작자들의 경우 보통 특정한 주제나 스타일로 그림을 반복해 그리면서 마음의 안정을 찾는다. 무엇이 그렇게 좋은지, 집중할 때는 정말로 행복한 표정이다. 그러나 이를 지켜보는 부모들의 마음은 애가 탄다. 왜 매일 똑같은 그림을 그릴까. 왜 남들처럼 친구들과 소통하지 못하고 혼자서 그림만 그릴까. 저런 낙서가 예술인가?
이 책에는 다양한 사례들이 등장한다. 정종필 씨(32)는 뉴스에 나오는 아나운서와 배우의 얼굴 등 특별한 인상으로 각인된 인물을 볼펜으로 반복적으로 그린다. 이런 그림이 A4용지로 수천 장이 쌓였다. 부모는 똑같은 그림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해 수없이 갖다 버리기도 하고, 종이와 볼펜을 숨기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똑같아 보이는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표정과 의상, 헤어스타일이 바뀌고 있다는 사실을 예술 강사들이 발견해낸다. 이렇게 창작 지원자들은 집 안에 숨겨진 작업 노트를 찾아내고 스크랩을 하면서 이들이 성장하는 것을 도와준다.
진성민 씨(32)는 집 안 벽지와 그림 일기장에 아래로 길게 늘어지며 흔들리는 독창적인 글씨체로 자신에게 친숙한 단어들, 찬송가의 문구를 반복적으로 적는다. 윤미애 씨(67)는 신문, 커피믹스 봉지, 과자 봉지, 우유갑 등 일상의 재료를 삼각형으로 잘게 잘라 모자이크 방식으로 둥그런 ‘영성체’를 형상화한다. 김경두 씨(33)는 달력 뒷면에 0.3mm 샤프와 지우개만을 사용해 정교한 건축물처럼 생긴 로봇과 생명체를 그린다.
밝은방을 운영하는 김효나, 김인경 작가는 2008년부터 ‘로사이드’라는 비영리단체에서 장애인 창작자들을 위한 창작지원자로서 활동해왔다. 발달장애인 창작 안내서 ‘무엇’은 아르떼 라이브러리 자료실에서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이날 북토크를 시작으로 발달장애인 창작자와 창작 지원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워크숍도 진행할 예정이다. 김효나 작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없었다면 발달장애인 창작자의 시각적 표현을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한 아트북 ‘무엇’을 기획하고 제작할 수 없었다”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단기간의 체험이 아니라 창작자의 삶과 창작지원자의 삶에 서로 영향을 끼치는 우정의 형식이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