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눈에 띄게 꺾였지만, 앞으로 5%대 고물가가 이어질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당분간 물가는 상방과 하방 요인이 공존하겠으나, 국제유가 등 원자재가격 추이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편이다. 이에 더해 연말연초 제품가격 조정, 화물연대의 집단운송 거부에 따른 물류 차질 등 리스크도 잠재돼 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10(2020=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0% 올랐다.
11월 물가는 전월(10월) 대비 0.7%p 줄고, 지난 4월(4.8%)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물가 상승률은 5월 5.4%로 5%대에 진입한 이후 6월 6.0%, 7월 6.3%로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까지 치솟은 뒤 8월 5.7%, 9월 5.6%로, 10월 5.7%로 5%대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한 먹거리 등 서민과 밀접한 품목의 상승률이 낮은 것이 눈에 띄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5.5% 올라 4월(5.7%) 이후 처음 5%대로 내려왔다. 7월부터 넉달간 두자릿수 상승률을 보인 신선식품지수는 지난달 0.8%로 상승폭이 대폭 축소됐다.
이처럼 물가가 안정세에 진입하는 듯 보이지만 여전히 위험 요인은 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년 대비 4.8% 올라 지난 10월과 같은 수치를 유지했다. 2009년 2월(5.2%) 이후 최고치다.
국제유가 변동성도 여전하다.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11월 하순 배럴당 70달러대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원유재고 급감, 중국의 방역조치 완화 기대 등으로 80달러대로 반등하는 등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아울러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는 대내외 악재도 있다.
기획재정부는 “연말연초 제품가격 조정, 화물연대의 집단운송 거부에 따른 물류 차질 등 대내외 리스크가 여전히 잠재돼 있어 계속해서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통화당국은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기 전부터 11월 물가상승률이 낮더라도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또 당분간 5%대 물가를 전망하면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24일 금융통화위원회 후 기자들과 만나 “11월은 예외적인 달이 될 것”이라며 “지난해 11월 이상 기온으로 올라간 채소와 유가 가격 때문에 (올해) 11월 물가 지표를 정확히 예상 못하겠지만 상당폭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환석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앞으로도 내년 초까지 5% 수준의 오름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향후 물가 전망 경로 상에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추이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크다”라면서 “경기 둔화폭 확대 가능성 등이 하방 리스크로, 에너지 요금 인상 폭 확대 가능성 등은 상방 리스크로 각각 잠재해 있다”고 설명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상방, 하방 요인이 같이 있기 때문에 지금 수준에서 등락하지 않을까 한다”며 “흰우유(원유)가격이 인상된 것을 고려했을 때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이 지속되고 석유류 가격도 지난해 12월에 국제유가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것을 고려할 때 다소 오름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