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수주, 고부가 민관투자전략 마련을”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2월 15일 03시 00분


건설사업 변화 대응 늦어 수주 감소
저가 경쟁 아닌 투자개발형 늘리고
시공-운영-금융사 원팀으로 뛰어야

“최근 한국의 해외 건설 수주액이 10년여 전보다 줄어든 배경에는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해외 건설 수주 시장 트렌드가 바뀌는 데 대해 선제 대응하지 못한 면이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민관이 협력해 투자개발형 사업에 역량을 집중해야 합니다.”(임한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사업개발본부장)

14일 동아일보와 채널A가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동아 건설 리더스 써밋’에서 세계 건설시장의 새로운 트렌드인 투자개발형 사업이 집중 소개됐다.

세계 각국은 최근 각종 인프라 건설 사업에 민관투자 유치 사업(PPP·Public Private Partnership)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중·저소득 국가의 PPP 투자액은 2020년 약 450억 달러에서 지난해 800억 달러 수준으로 크게 늘었다. PPP는 기존 도급 방식에서 벗어나 수주 기업이 투자부터 건설은 물론이고 향후 인프라 운영 및 유지 보수까지 맡고, 사업을 발주한 국가는 세금 감면, 재정 지원 등을 하는 합작 투자 방식이다.

PPP 등 투자개발형 사업은 시공사가 금융 조달부터 지분 투자까지 참여하기 때문에 마케팅, 금융 경쟁력 등 가격 외 요소에 의해 수주가 결정될 수 있어 저가 경쟁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임 본부장은 “PPP는 시공사뿐 아니라 금융사, 원자재 공급사, 운영사 등 다양한 주체들에 골고루 이익이 돌아간다”고 말했다.

국내 건설사들의 투자개발형 사업 수주액은 2010년 연간 30억 달러 미만이었지만 지난해 52억7600만 달러로 늘어났다. 2016년 0건이었던 수주 건수도 지난해 6건으로 늘었다. 호주 노스이스트링크(GS건설·총 공사비 23억8100만 달러), 아랍에미리트 해저 송전선로 공사(한국전력, 삼성물산·22억 달러) 등 대형 사업을 수주했다. 임 본부장은 “지난해는 국내 건설업계가 투자개발형 사업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고 했다.

앞으로 한국이 투자개발형 사업 수주에서 더 큰 성과를 내려면 △정책금융 지원 강화 △전문인력 양성 및 공기업 노하우 공유 등과 함께 투자개발형 사업에 대한 공공 지원의 허브 역할을 하는 KIND의 역량 강화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 본부장은 “KIND의 자본금을 현재 5000억 원에서 2조 원까지 늘리고, 정부 간(G2G) 계약을 맺을 수 있는 지위를 부여하는 등 투자 정책을 유연하게 적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했다.

#해외건설 수주#민관투자전략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