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탄소 배출이 많은 수입품에 탄소 가격을 추가로 부과하는 탄소국경세를 도입한다. 화석 연료를 통해 철강재를 생산하는 포스코 등 국내 철강사들은 탄소 배출이 많은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힌다. 유럽연합이 현행대로 탄소국경세를 부과할 경우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
탄소국경세가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잡으면서 포스코의 친환경 생산 체제 전환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로이터·AFP통신 등은 EU가 지난 12일(현지시간) 수입품에 탄소국경세를 물리는 탄소국경조정제(CBAM) 도입에 잠정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우선적으로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기, 수소 등 6개 품목을 대상으로 내년 10월부터 시범 적용한다. 이후 2026년부터 적용 품목을 늘려 본격적으로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CBAM은 수입품의 탄소 함유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EU의 탄소배출권거래제(ETS)와 연동해 탄소 가격을 추가로 부과하는 제도다. 사실상 또 하나의 수출장벽이 생기는 셈이다.
제도가 시행되면 EU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생산 공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탄소배출량 등 탄소배출 의무사항을 신고해야 한다. 첫 3년간은 앞서 언급한 6개 품목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탄소국경세는 철광석 등을 녹여 철강재를 생산하는 철강업계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CBAM 적용 품목의 EU 수출 규모는 지난해 기준 ▲철강 43억 달러 ▲알루미늄 5억 달러 ▲시멘트 140만 달러 ▲비료 480만 달러 등으로 철강이 가장 많다.
이런 이유로 탄소국경세가 논의되기 시작한 2019년부터 포스코 등 국내 철강사들은 탄소 배출 저감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EU가 시범 도입하기로 하면서 국내 철강사들의 친환경 생산 체제 전환은 더 빨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국내 최대 철강사인 포스코는 친환경 생산 기술인 수소환원제철 공법을 준비 중이다. 하지만 수소환원제철이 도입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해 우선적으로 전기로 설비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전기로는 현 단계에서 고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생산설비로 꼽힌다. 고로에서는 쇳물 1t을 생산하는데 평균 2t의 탄소가 배출된다. 반면 전기로 배출량은 고로 대비 4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2025년까지 전남 광양제철소 1기, 2027년까지 포항제철소 1기 등 2기의 전기로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가 국내에서 조강(쇳물) 생산량을 늘리지 않을 예정인 만큼, 전기로 완공으로 고로 생산량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평균 7800만t의 탄소를 배출했다. 전기로 신설을 통해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7100만t 이하로 감축한다는 목표다. 포스코는 탄소배출량을 10% 줄이면 연간 50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
업계 한편에서는 포스코의 전기로 신설 시점이 기존 계획보다 당겨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EU에 이어 미국도 탄소국경세 도입을 추진 중인 만큼 탄소 배출 감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포스코 관계자는 “EU의 탄소국경세 도입 영향에 대해 면밀히 살피고 있는 중”이라며 “현재로서는 기존 계획대로 전기로 도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