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반도체 수출액 10%↓ 예상”…경제성장률 0.64%p 하락 악영향
뉴시스
업데이트
2023-01-25 10:18
2023년 1월 25일 10시 18분
입력
2023-01-25 10:17
2023년 1월 25일 10시 17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한국 주력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산업의 침체로 올해 1%대 경제성장률이 더욱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반도체 침체가 확산되며 올해 반도체 수출증가율은 전년대비 10% 줄어들 조짐이다. 이로 인해 한국 경제성장률은 0.64%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
25일 대한상공회의소 SGI 브리프인 ‘반도체 산업의 국내 경제 기여와 미래 발전전략’에 따르면 2023년 반도체 수출증가율은 -9.9%를 기록할 예정이다.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올 상반기 -16.8%로 저점을 기록하며, 올 하반기에도 -2.2% 하락이 예상된다.
과거 사례를 보면 반도체 경기 하강 국면은 1년 내내 지속됐다. 반도체 경기사이클과 유사하게 움직인다면 올 상반기 반도체 경기가 저점을 찍은 이후 하반기부터는 서서히 회복될 전망이다.
단 세계 경기둔화, 통화 긴축, 반도체 치킨게임과 맞물려 경기침체가 예상보다 더 길어질 가능성도 상존한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10% 감소하면 국내 경제성장률은 0.64%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반도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 상황에서 반도체 경기 악화는 또 다른 경기 침체 요인이 될 수 있다.
반도체 수출이 예상보다 부진하다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1.7%에서 1% 초반까지 하향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보고서는 “올해 국내 경제의 단기적 하락을 막고 세계적인 국내 반도체 산업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응전략으로 ▲메모리 편중 구조 해소 ▲반도체 산업 투자 지원 ▲전문인력 적기 공급 ▲중소 반도체 업체 리쇼어링 지원 등이 꼽힌다.
대한상의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시대에 접어들며 다변화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의 수요에 맞춰 대응해야 한다”며 “비메모리 성장을 위해 팹리스와 파운드리 등에서 국가 및 국내기업 간 협력 관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아울러 “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투자 계획이 연기 및 취소될 가능성이 있다”며 “국내 반도체 대기업이 국내 업계 생태계를 구축하는 전략에 대해 정부 차원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공무원연금 평생 받는다
직장에선 ‘투자의 귀재’, 알고 보니 대출 사기꾼
美, ‘北 완전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 中압박 동참 요구는 거세져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