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증시를 바라보는 낙관론이 커지기에는 넘어야 할 난관이 많았다. 지난해 증시를 두고 시장 전망치와 실제 지수 간 괴리가 컸던 점도 올해 증시를 보수적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다.
1월 중순까지의 증시 결과는 의외의 소수 의견에 대해 재조명한 계기가 됐다. 연간 증시 경로가 ‘상저하고(上低下高)’가 아닌 ‘상고하저(上高下低)’가 될 수도 있겠다는 의견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상저하고’와 ‘상고하저’를 가르는 첫 번째 요인은 물가, 긴축, 중국 변수를 둘러싼 증시 반응 시점이다. 에너지, 임금 영향력에서 벗어난 물가 오름폭 둔화와 이로 인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상 중단, 그리고 ‘제로(0) 코로나’ 정책으로 이어지는 중국 경기 회복과 증시 반등이라는 이벤트를 1분기(1∼3월)부터 강하게 반영할지 아니면 연준의 금리 인상 중단이 단행된 이후인 2분기(4∼6월)부터 반영할지 여부다.
두 번째는 미 경제의 경착륙 진입 여부를 하반기 증시가 반영할지 여부다. ‘상고하저’는 하반기 미국 경착륙 진입 가능성을 반영해 증시가 반등 폭을 줄여나갈 것으로 예측한다. ‘상저하고’는 미 경제가 얇은 침체를 겪더라도 증시는 우려를 선반영했기 때문에 증시 상승 폭이 저해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 또는 견고한 고용시장 등으로 경착륙에 진입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연간 증시 경로를 두고 논란이 커지는 와중에 13일 시작된 미국의 지난해 4분기(10∼12월) 어닝시즌 진입은 ‘실적 부진’이라는 암초를 만나게 할 것이다. 지난해 4분기 S&P500의 주당순이익(EPS) 추정치는 전년 대비 3.9%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기업 실적이 전년보다 감소하는 것은 2020년 3분기(―5.7%) 이후 처음으로, 지난해 9월 말 추정치와 비교하면 6.7% 감소했다. 일각에서는 실적 부진이 현 주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의견도 있어 이러한 해석상의 차이는 1월 중순 이후 증시에 노이즈로 작용할 것이다.
위험 회피 심리는 확대되겠지만 연간으로 보면 올해 상반기는 증시 불확실성을 낮추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 예컨대 연준 및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전환 모색, 지난해 고강도 통화 긴축 여파에 따른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시장금리와 물가는 점진적으로 하락해 증시 불확실성을 낮추는 동인이 될 것이다.
올해 1분기는 글로벌 증시가 저점을 지나가는 국면으로, 해 뜨기 전 가장 어두운 새벽에 해당된다. 2분기는 미국 정책금리와 소비자물가(정책 금리 하회) 간 스프레드 역전에 대한 기대가 커지며 투자 대상의 신구 교체가 이뤄지는 시점이 될 것이다. 유망 투자 대상인 신흥국의 정보기술(IT)·경기소비재, 미국 우선주의 정책 확장으로 인한 전기차·배터리, 반도체와 바이오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바꾸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