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가 생각하는 노동조합의 역할은 명확했다. MZ세대가 노조에 요구하는 것은 ‘합리와 타협, 상식과 실리’로 요약됐다. 동아일보와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20, 30대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이 같은 인식이 명확히 드러났다.
MZ세대는 오늘날의 노조를 더 이상 약자로 보지 않았다. 한 20대 청년은 은행 영업시간 연장을 반대하는 노조를 향해 “고객 불편은 뒤로하고 본인들 것만 챙기려는 억대 연봉 집단이 약자들인가요?”라고 되물었다.
MZ세대의 눈에 비친 노조는 ‘대립과 폭력, 정치화, 갈등’으로 대표되는 집단이었다. 취재하면서 만난 MZ세대들이 노조를 ‘어두운 집단’ ‘권위적’이라고 표현하는 것만 봐도, 오늘날의 노조는 뭔가 문제가 있음을 엿볼 수 있다. 한 30대 직장인은 “노조가 일단 무리한 요구로 질러 놓고, 안 들어 주면 대립하고 투쟁하는 게 국룰(특정 행위가 불문율임을 뜻하는 유행어) 아닌가요?”라고 말했다.
MZ세대는 노조 자체를 반대하지 않았다. MZ세대 10명 중 8명은 “노조는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 개선과 복지 및 임금 향상에 힘써야 한다”고 답했다. MZ세대는 정치색으로 물든 노조가 아닌, 근로자와 친노동을 위한 ‘찐 노조’를 갈망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MZ세대들이 주축이 된 젊은 노조위원장들이 모였다. 이들은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 출범을 결의하면서 기존 노조 형태와는 다른 노동 운동을 펼치겠노라 뜻을 모았다. “상식의 길을 걷겠다” “우리의 핵심 가치는 공정과 상생” “사회적 공감대를 조성하고, 투명한 노동시장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재의 노조를 ‘리셋’해야만 한다는 이 시대정신은 어쩌면 구시대적인 노조에 대한 반작용으로 필연적으로 등장할 수밖에 없었던 흐름인지도 모른다.
이들의 목소리가 반향을 일으키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 실질적인 교섭 주체로 자리 잡기까지 수많은 난관이 존재할 것이다. 전 세계가 산업 경쟁력을 안보의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는 경제전쟁의 시대다. 노조와 노동 개혁을 위한 골든타임은 시작됐고 여건도 마련됐다.
대한민국을 이끌 미래 세대는 ‘개혁’을 열망하고 있다. ‘노조 개혁’을 바란다면 이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