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한국의 엥겔지수가 주요 5개국(G5)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16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한국과 G5의 2019, 2021년 엥겔지수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상승폭은 1.4% 포인트로 G5 평균(0.9% 포인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엥겔지수는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한국의 엥겔지수는 2019년 11.4%에서 2021년 12.8%로 높아졌다. 2021년 기준 일본(16.3%)과 프랑스(13.9%)의 엥겔지수가 더 높긴 하지만, 두 나라의 2년 새 상승폭은 일본 0.9% 포인트, 프랑스 0.8% 포인트로 G5 평균을 밑돈다.
이는 식품물가가 급등한 탓이다. UN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2020, 2021년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상승률은 평균 5.2%로 G5 평균 상승률 1.7%보다 3배 이상 높다. G5 중 식품 소비자 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미국 3.5% 보다 더 크게 상승했다.
한국이 주요 농산물을 대부분 해외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 글로벌 공급망 충격 상황에서 식품물가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소다. 지난해 한국의 곡물 자급률은 19.4%로 100%를 넘긴 미국(117.0%)이나 유럽연합(EU·102.1%)은 물론 일본(26.9%)보다도 낮다. 또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평균소비성향(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이 2019년 4분기(10~12월) 71.2%에서 2021년 4분기 67.3%로 낮아지는 등 소비 자체가 둔화한 것도 엥겔지수를 높였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생계유지와 직접 연관된 식품가격이 오르면 저소득층 피해가 커진다”며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한 식품물가 상승폭 최소화로 취약계층 생활비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