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째 수출 줄어, 1월 재고율 265%
지난달 전체 수출도 7.5% 줄어들어
내수 위축까지 겹쳐 경제전망 먹구름
업계 “경쟁력 위해 K칩스법 통과를”
글로벌 반도체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올 1월 반도체 재고율이 약 26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한국 경제를 떠받쳐 온 반도체 산업에서 재고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국회에서 표류 중인 ‘K칩스법(반도체산업강화법)’ 등 반도체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책들의 조속한 시행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1월 반도체 재고율은 265.7%로 집계됐다. 1997년 3월(288.7%) 이후 25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재고율은 제품 출하 대비 재고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다. 재고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제품이 잘 팔리지 않아 생산된 물건이 창고에 쌓이고 있다는 뜻이다.
1월 반도체 재고는 전년 동기보다 39.5% 늘었다. 반도체 재고 증가율은 지난해 8월 47.2%까지 치솟은 후 9, 10월에는 상승 폭이 다소 줄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19.1%)부터 다시 상승폭이 커졌다. 반도체 재고 증가 여파로 전체 제조업 재고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0.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재고가 쌓이고 있는 데는 반도체 수출 부진 장기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액은 1년 전보다 42.5% 급감한 59억6000만 달러에 그쳤다. 반도체 수출 감소는 지난해 8월(―7.8%) 이후 7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2월 전체 수출은 전년보다 7.5% 감소했다.
삼성전자의 재고자산도 1년 사이 10조 원 넘게 늘었다. 삼성전자가 최근 공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삼성전자 재고자산은 52조1878억 원으로 전년 말(41조3833억 원)보다 20.7% 늘었다. 삼성전자 재고자산이 50조 원을 넘어선 것도 사상 최초다.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며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떨어진 영향이 컸다. 이와 함께 TV, 스마트폰, 가전 소비도 덩달아 추락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도체 산업 전망은 앞으로 더 어둡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이달 전자·통신장비 분야 재고 전망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125였다. BSI가 100보다 높으면 재고가 과잉인 상태를 뜻한다. 전경련은 “전자·통신장비 재고 과잉이 겹치며 국내 최대 수출 상품인 반도체의 부진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시장에서는 반도체 기업 실적에 대해 ‘우울한 전망’을 쏟아내고 있다. 증권가는 올 1분기(1∼3월)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이 1조∼2조 원, SK하이닉스는 3조 원가량 적자를 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3일 리포트에서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예상보다 부진한 메모리 반도체 출하량과 재고자산 평가손실 등으로 1조9000억 원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작년 1분기 14조1210억 원의 13.5% 수준으로 쪼그라든다는 예상이다. 노 연구원은 특히 “실적 악화의 중심에 있는 DS 부문은 1조9000억 원 적자를 낼 것”이라고 했다.
반도체를 포함한 주력 산업 부진에 국내외 소비 심리 위축까지 겹쳐 올 상반기(1∼6월) 한국 경제 전망은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말 ‘경제전망’에서 올 상반기 경제성장률을 1.1%로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전망치(1.3%)보다 0.2%포인트 낮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올 상반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에서 1.1%로 낮춰 잡았다.
정부도 경제 활력을 되살리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우선 이달 중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강화 전략과 더불어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기술의 초격차 연구개발(R&D)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대규모 국내 투자를 통해 반도체 산업단지를 구축하고 인공지능(AI) 팹리스(반도체 설계) 투자도 확대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제품 중심 수출 감소세가 5개월 연속 이어지는 가운데 1년째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며 “반도체 경기의 반등이 없이는 당분간 수출 회복에 제약이 불가피한 어려움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는 경기 회복과 글로벌 ‘반도체 전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K칩스법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요구 중이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한 조세특례제한법(조특법) 세액공제 비율을 높여 다시 국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야당이 법 취지 전반에는 공감하나 ‘대기업 특혜’ 등을 이유로 반대하며 계류 중인 상황이다. 조특법 개정안은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를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15%(기존 8%), 중소기업은 25%(기존 16%)로 높이는 내용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