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물가 2% 확신 전까지 금리인하 언급할 단계 아냐”

  • 뉴시스
  • 입력 2023년 4월 11일 13시 04분


코멘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물가 상승률이 한은의 중장기 목표 수준인 2%로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 까지 금리 인하를 언급할 단계가 아니다”며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한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올해 하반기 물가 불안 요인이나 불확실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상반기 물가 경로는 확신이 있었지만, 하반기에는 유가 등 불확실성이 많아 이를 확인하기 전까지 금리 인하를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됐다고 보고 있는 시장 반응에 대해서도 “금통위원들은 금리 인하를 아직까지 고려할 단계가 아니며, 물가 불안 요인 등 불확실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며 “대다수의 금통위원은 시장에서의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가 과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91일물 통안채나 국채 금리가 떨어지는 것을 보면 금리가 언제 인하될 것으로 기대하는지 알 수 있다”며 “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하고 있는데, 일부 금통위원은 이같은 시장의 완화 기대에 대해 정상적이 아니라고 경고할 필요가 있다고 얘기했다”고 지적했다.

이번 금리인상 사이클의 최종금리 수준에 대해 “금융통화위원 6명 중 5명은 기준금리를 3.75%로 인상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고, 1명은 3.5%로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금통위원 5명이 3.75%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자고 한 것은 물가가 예상한 대로 둔화 흐름이 이어지겠지만 산유국의 추가 감산이 유가에 미치는 영향과 공공요금 인상 시기 등으로 하반기 물가에 미치는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라며 “또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을 어떻게 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3.75%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금리 격차 확대가 외환시장 불안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특정 환율 수준을 염두해 두고 금리를 통해 반응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변동성이 크면 금리 뿐 아니라 여러 다른 정책을 통해 반응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의 무역수지 적자 등은 이미 기대됐던 요인인 만큼 원·달러 환율에 반영됐을 것”이라며 “주요국 통화정책이 어떻게 변화할지, SVB 사태 이후 주요국 통화정책 긴축이 이어질지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 단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연간 성장률에 대해서는 “IT 경기 부진 심화 등의 영향으로 지난 2월 전망치 1.6%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경기 둔화, 그간의 금리 인상의 영향 등으로 성장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고, 소비 부진이 다소 완화됐지만 수출이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하면서 1분기중 성장률은 소폭의 플러스로 전환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올해 상반기까지는 부진한 성장 흐름이 이어지겠으나, 하반기 이후에는 IT 경기 부진 완화와 중국 경제 회복의 영향 등으로 점차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분기에는 3%대로 낮아지고 연말에는 3% 수준을 나타내는 등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연간으로는 지난 2월 전망치 3.5%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근원물가 상승률은 최근의 더딘 둔화 흐름을 고려할 때 지난 2월의 전망 경로를 다소 상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

또 “향후 물가전망에는 산유국 감산에 따른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공공요금 인상의 시기와 폭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은 금통위는 이날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3.5%로 동결했다.

이 총재는 이에 대해 “물가 상승률의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목표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주요국에서 금융부문의 리스크가 증대되는 등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은 만큼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금융안정 상황, 여타 불확실성 요인들의 전개 상황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