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5가구 중 3가구, 고물가 탓에 ‘적자’…4년 만에 최대

  • 뉴시스
  • 입력 2023년 5월 27일 08시 06분


전국 가구 적자비율 26.7%…3.2%p↑
저소득층 월 46만원 적자…역대 최대
고소득층 소득, 빈곤층보다 6.45배↑

고물가에 소비지출이 늘면서 올해 1분기 적자 가구가 4년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났다. 특히 저소득층 5가구 중 3가구는 ‘적자 살림’을 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전국 가구 중 적자 가구 비율은 26.7%로 지난해 1분기 23.5%보다 3.2%포인트(p) 늘었다. 4가구 중 1가구 이상은 적자 살림을 꾸리는 셈이다.

이 중 소득 최하위 계층인 1분위(소득 하위 20%)의 적자 가구 비율은 62.3%로 1년 전(57.2%)보다 5.1%p 증가했다. 이는 전 분기 통틀어 2019년(65.3%)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적자 가구 비율은 소득에서 조세, 연금, 사회보험료, 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즉 버는 돈에 비해 쓴 돈이 더 많은 가구를 의미한다. 고물가 영향으로 실질소득은 그대로인데 소비지출이 크게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5만4000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 대비 4.7% 증가하는 동안 소비는 11.5%나 늘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1월 5.2%, 2월 4.8%, 3월 4.2%를 기록하는 등 고물가 흐름 탓에 지출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득은 제자리인 반면 실질 소비지출은 6.4% 늘었다.

고물가의 영향은 저소득층에 더 가혹했다. 1분위 가구가 올해 1분기 벌어들인 월평균 소득은 107만6000원으로 1년 전보다 3.2% 증가했지만, 실질소득 기준으로는 월 소득이 오히려 1.5% 감소했다. 고용 호조에도 불구하고 임시·일용직 취업자가 감소하면서 실질 근로소득이 전년보다 6.0%나 쪼그라들면서다.

반면 월평균 소비지출은 13.7%나 늘었다. 실질 소비지출 기준으로도 8.6% 증가했다. 주로 주거·수도·광열(23.1%), 식료품·비주류 음료(19.0%), 보건(13.9%) 등 필수 지출 위주로 비중이 컸다.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85만8000원으로 전년보다 1.3% 증가했다. 하지만 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크게 늘면서 월평균 46만1000원의 적자(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 살림을 꾸렸다. 이는 2006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금액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식료품 제외 음식·숙박, 교통, 오락·문화, 주거·수도·광열 등 모든 품목에서 소비지출이 증가했다”며 “사회적 거리 두기 및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로 외부 활동이 증가한데다가 물가 상승 등의 영향도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고물가에 지출이 크게 늘면서 적자 가구 비중은 3분위를 제외한 대부분 소득계층에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3분위 적자 가구 비중은 18.2%로 전년보다 0.2%p 줄었지만, 2분위(소득 하위 40%)는 28.0%로 1년 전보다 1.3%p 늘었다. 4분위(소득 상위 40%)는 12.5%에서 16.0%로, 5분위(소득 상위 20%)는 7.0%에서 8.8%로 상승했다. 1분위 적자 가구 비중이 5분위보다 7배 이상 높았다.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3% 증가하는 사이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886만9000원으로 4.7%나 늘었다. 이에 따라 소득 양극화도 더 악화했다. 국민 소득 분배 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6.45배로 1년 전보다 0.25배p 상승했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6.45배 많다는 의미다.

기재부 관계자는 “향후 소비지출 증가율은 지연된 소비 해소에 따라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예상되며 이에 따른 적자 가구 비율도 개선될 것”이라며 “양호한 고용 흐름 및 전반적인 소득 증가세가 소득·분배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