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7년까지 농식품 산업 분야에 민간자본 5조 원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농식품 분야 신규 벤처 투자는 전체 투자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열악한 수준이다. 정부는 투자정보 제공, 펀드 구성 등 농식품 분야에 민간투자를 유도해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농식품 분야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5년간 정부 재원 6000억 원과 민간자본 5조 원을 포함해 총 5조6000억 원의 투자 재원을 마련하기로 했다.
식량 안보, 미래 먹거리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농식품 분야의 민간투자는 열악한 상황이다. 지난해 말 농림어업 분야 상장 기업은 6개, 시가총액은 3조 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0.14%에 불과하다. 지난해 농식품 분야 신규 벤처 투자도 1246억 원으로 전체 벤처 투자의 0.9% 수준에 그쳤다.
정부는 정보 비대칭이 심해 농림어업 분야의 민간자본 유입이 저조한 것으로 보고 있다. 농식품부는 정보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우수 경영체에 대한 투자정보 분석보고서를 연간 80개 발행하기로 했다. 정부 주관 투자설명회도 1년에 20회 이상 개최할 예정이다. 올 9월에는 경영자-투자자 매칭 서비스 등을 포함한 투자정보 공유 플랫폼을 구축한다.
유망 농업 경영체에 자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여신 상품도 새롭게 만들기로 했다. 담보력은 부족하지만 유망한 사업 아이템을 갖고 있는 법인이 기술력, 성장 가능성 등 비재무적 평가를 바탕으로 자금을 빌릴 수 있도록 2027년까지 4조3000억 원 규모의 신규 여신 상품을 공급한다.
정부가 마중물을 부어 농식품 투자 펀드도 조성한다. 정부가 2027년까지 1000억 원 규모의 모(母)펀드를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3000억 원 이상의 민간펀드를 결성해 스마트농업, 푸드테크 등 신산업 분야의 유망 사업체에 투자하겠다는 것. 투자금을 중간에 회수할 수 있는 수단인 세컨더리펀드도 2027년까지 1500억 원 규모로 결성한다. 세컨더리펀드는 다른 펀드가 보유한 주식을 매입하거나 출자자(LP)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거래하는 펀드로 유연한 투자가 가능하다.
정책 펀드도 1조 원 이상 결성해 스타트업, 청년, 지역 등 정책지원 분야에 중점 투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정책 펀드는 2018∼2022년의 5년간 총 7400억 원이 결성됐는데, 향후 5년간 정부 6000억 원, 민간 4000억 원을 더해 1조 원 이상으로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