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저소득층 모두 학원비>식비… 사교육에 등골 휜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6월 26일 03시 00분


통계청, 13~18세 자녀 둔 가구 조사
상위 20% 가구 학원비 月 114만원
식비-주거비 합한 117만원에 육박
성적 높을수록 사교육비 더 지출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학원비 지출 비중이 커지면서 가계 부담을 키우고 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뉴시스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학원비 지출 비중이 커지면서 가계 부담을 키우고 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뉴시스
서울 양천구에 사는 이모 씨(49)는 지난달 두 자녀의 학원비로만 270만 원을 썼다. 고등학생인 첫째에게 170만 원, 중학생인 둘째에게 100만 원이 들어갔다. 교육비를 제외한 이 씨 가정의 한 달 생활비(약 250만 원)보다 많다. 이 씨는 “지난해 말부터 올 초까지 학원비가 10∼20% 올랐다”며 “남편 월급만으로는 학원비를 감당할 수가 없어 최근 파트타임 일자리를 구했다”고 말했다.

사교육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면서 중고생 자녀를 둔 가정은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식비나 주거비보다 학원비 지출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물가 상승률이 3%대로 떨어졌지만 학원비는 오르면서 가계 부담을 키우고 있다.

25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 1분기(1∼3월) 가계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 가운데 중·고등학생(만 13∼18세) 자녀가 있는 가구의 월평균 학원·보습 교육 소비지출은 114만3000원이었다. 이 기간 해당 가구의 월평균 식료품·비주류 음료(식비) 지출은 63만6000원, 주거·수도·광열비(주거비) 지출은 53만9000원이었다. 가족 전체의 한 달 식비와 주거비를 합친 금액에 육박할 만큼을 자녀 학원비에 쏟아부은 것이다.

전체 소비에서 식비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저소득층도 식비 혹은 주거비보다 더 많은 돈을 학원비에 썼다. 중고교생 자녀를 둔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올 1분기 학원비 지출은 48만2000원으로 식비(48만1000원)나 주거비(35만6000원)보다 많았다.

사교육비 부담은 최근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올 1분기 ‘학원 및 보습 교육’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2% 상승했다. 이는 2013년 5.1% 상승 이후 10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학원비 물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한 2020∼2021년에는 1.3∼1.8% 상승에 그쳤다. 그러다 지난해 4분기(10∼12월) 전년 대비 3.1% 증가한 뒤 2분기 연속 3%대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각종 서비스 물가가 오른 가운데 엔데믹 이후 대면 수업이 늘면서 학원비도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사교육비가 가장 많이 들어간 과목은 영어였다. 통계청과 교육부가 공동 조사해 올 3월 발표한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결과’에 따르면 영어 과목의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은 23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수학 22만 원, 국어 13만7000원 등의 순이었다. 영어, 수학, 국어 3개 과목의 사교육비 지출은 전년 대비 각각 4.9%, 6.0%, 11.7% 상승했다.

성적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더 많았다. 고교생 중 학교 성적이 상위 10% 이내인 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은 59만 원. 이 외에 상위 11∼30% 학생은 54만5000원, 31∼60%는 47만8000원이었다. 하위 20% 학생의 사교육비는 32만3000원으로 상위 20%의 절반 수준이었다. 사교육 참여율도 상위 10%는 77.5%로 높은 반면 하위 20%는 54.0%로 낮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사교육비 지출이 월평균 59만6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 밖에 경기(44만6000원), 대구(43만7000원), 세종(41만8000원) 등이 뒤를 이었다. 사교육비 지출이 가장 적은 지역은 전남(26만1000원)으로 서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고소득-저소득층#학원비>식비#사교육에 등골 휜다#성적 높을수록 사교육비 더 지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