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엘 로스 전 트위터 신뢰·안전 부서 책임자 인터뷰
"엄격한 과정 거쳐 트위터 계정 정지 해제했는지 의문"
“계정 영구 정지 조치를 해제할 때 엄격한 기준을 거쳐야 하는데 제대로 이뤄졌는지 모르겠다.”
2021년 당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트위터 계정을 영구 정지시킨 요엘 로스 전 트위터 신뢰·안전 부서 책임자(35·현 미 캘리포니아 UC 버클리대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연구원)가 2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글로벌팩트 10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29일 미국 인터넷 정치 전문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약 2년 반 만에 트위터 활동 복귀를 검토하고 있다.
트위터는 2021년 1월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의회 난입 사건과 관련한 책임이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있다며 그의 계정을 영구 정지시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패배 결과를 승복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트위터를 통해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의회 난입 사건 등 폭동을 부추겼다는 우려에서다.
이때 계정 정지를 결정한 인물 중 한 명이 요엘 로스다. 로스를 중심으로 한 트위터 신뢰·안전 부서는 트위터 이용자들이 코로나19에 관한 허위정보 등 오해의 소지를 낳을 법한 글에 경고 라벨을 붙이거나 지속적으로 허위정보를 유통한 이용자에게 일시적으로 활동을 정지시키는 업무를 맡았다.
하지만 로스는 지난해 10월 트위터를 인수한 일론 머스크와 지속적으로 마찰을 빚었다. 머스크는 트위터 수익 개선을 위해 계정에 파란색 인증 배지를 부여하는 ‘트위터 블루’ 서비스를 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로스는 이용자들이 유명인을 사칭해 허위정보를 퍼뜨릴 가능성이 큰 정책이라고 반발했다.
결국 로스는 같은 해 11월 트위터를 퇴사하면서 그가 맡았던 신뢰·안전 부서도 사실상 해체됐다. 로스가 퇴사한 후 트럼프 전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 영구 정지 조치도 해제됐다.
로스는 “소셜미디어 기업이 국가원수의 어떤 정치적인 이유로 계정을 삭제하는 건 쉬운 결정이 아니었다”며 트위터의 해제 조치도 엄격한 검토 과정을 거쳤어야 한다고 말했다.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계정을 영구 정지했어야 했는지에 관한 질문에 로스는 적극 공감한다면서도 “이용자들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거나 개인 신상정보를 유포하는 등 안전도 우선시해야 하는 만큼 균형을 잘 맞추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동도 제한한 만큼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정치에 개입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활동 제한 자체가) 정치적 담론에 참여하는 행위는 아니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로스는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이 허위정보 확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도 공감했다. 최근 샘 알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부회장 등이 책임 있는 생성형 AI 사용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로스도 “정치적 맥락에서 AI 사용 규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규제 필요성을 언급했다. 생성형 AI가 여러 정보를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생산하는 만큼 테크기업이 허위정보 확산을 막을 만한 기술 투자를 많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스는 SNS를 아동 성 착취물, 테러 등 불법 활동 용도로 사용하거나 손해를 끼치는 걸 막기 위한 주체는 트위터, 메타(페이스북) 등 플랫폼 기업으로 그 외 대안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플랫폼 기업이 책임을 인식하고 잘못된 정보 측면에서 올바른 해결책이 무엇인지 노력하는 걸 희망한다고 전했다.
로스는 30일 오후 2시30분 서울 코엑스에서 ‘머스크, 트위터, 그리고 거짓 및 허위정보의 미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선다.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CEO에 취임한 후 첫 주 동안 있었던 뒷이야기를 소개하고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거짓 및 허위정보에 대응하는 현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공유할 예정이다.
로스가 기조연사로 나서는 행사인 ‘글로벌팩트 10’은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산하 SNU팩트체크센터가 국제팩트체킹연맹(IFCN)과 함께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하는 세계 최대 팩트체크 콘퍼런스다.
SNU팩트체크센터에 따르면 대면 참석자는 75개국에서 550여명(사전등록 포함, 지난 26일 기준)이 참여했다. 센터 측은 2014년 글로벌 팩트가 시작된 이후 역대 최다 국가 참가, 최대 인원 참가 인원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