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지속가능항공유 사용 의무화… 세계시장 5년간 7배로 증가 전망
핀란드-美-佛-日기업 등 경쟁 치열
대한항공-SK이노 등도 뛰어들어
규제에 발목… “정부 지원 시급”
“각 핀에어 항공권에는 현재 약 0.2유로(약 285원) 상당의 지속 가능한 항공연료가 포함돼 있습니다.”
최근 구매한 인천∼헬싱키 노선의 핀에어 항공권에 쓰여 있는 문구다. 핀에어는 할당된 비용으로 지속가능항공유(SAF)를 구입해 탄소배출을 줄인다고 설명했다. 핀에어뿐이 아니다. 에어프랑스와 KLM 등은 항공권 가격의 0.5% 수준인 SAF 연료비용을 기부금 명목으로 항공권 가격에 포함시키고 있다.
● 친환경 격전지로 떠오른 항공유
11일 에너지 및 항공업계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SAF를 기존 항공유에 최소 2%를 섞도록 의무화한 ‘리퓨얼 EU’ 법안을 4월 통과시켰다. 현재 항공업계의 SAF 사용 비율은 0.1%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유럽 노선을 시작으로 글로벌 항공권 구매가격이 점차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리퓨얼 EU는 2030년 6%, 2035년 20%, 2050년 70%로 SAF의 비중을 점차 늘리도록 하고 있다. SAF가 새로운 ‘친환경 격전지’로 떠오른 셈이다.
SAF는 석유가 아닌 동식물성 바이오 기름이나 합성원유 등을 원료로 추출한 항공유다.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 배출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항공분야 탄소 배출은 전체 탄소 배출의 2.6% 수준이지만 성층권에 직접 배출하기 때문에 온실가스 효과가 증폭된다는 문제가 있다. 핵심 대안 중 하나가 SAF다. 글로벌 SAF 시장은 지난해 31억2430만 달러(약 4조400억 원)에서 2027년 215억6520만 달러로 5년 만에 7배로 껑충 뛸 것으로 전망된다. 핀란드 바이오디젤 기업 네스테가 가장 앞섰다는 평가지만 절대 강자는 없다. 미국 월드에너지, 지보, 필립스66, 영국 에어BP, 프랑스 토탈, 일본 이데미쓰코산 등이 경쟁하고 있다.
다만 SAF는 일반 항공유보다 2∼6배 비싸다. 이 때문에 항공업계도 당장 빠르게 SAF 비중을 늘리는 데는 부담을 느끼고 있다. 소비자들 역시 일정 부분은 더 비싼 값을 지불해야 한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SAF 사용 요구가 늘어나면서 향후 10∼15년 동안 항공요금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한국 기업도 경쟁 가세…정부 지원 절실
한국 기업들도 기술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대한항공은 2021년 6월부터 HD현대오일뱅크와 함께 SAF 도입에 나섰다. 올해 안에 시험 생산을 거쳐 본격적인 공급은 내년부터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은 최근 GS칼텍스와도 SAF 실증 연구 운항을 시작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7월과 10월 폐기물 기반 SAF 생산기술을 가진 펄크럼과 인피니움에 각각 투자했다. SK이노베이션은 2026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현행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에 따르면 정유사가 석유가 아닌 원료를 사용해 제품을 생산하지 못한다. HD현대오일뱅크는 SAF 시험 생산을 위해 규제샌드박스에 허가를 신청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한 다른 나라들과는 대조적이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포함된 세금공제 조항을 통해 자국 내에서 생산·공급하는 SAF 가격을 등유와 비슷한 수준으로 맞췄다. 일본은 2030년 항공사 연료 소비량의 10%를 SAF로 대체하는 계획을, 중국은 2025년 5만 t의 SAF를 사용하겠다는 정부 차원의 계획을 지난해 10월 발표했다. 에너지 업계에서는 국내 SAF 인프라 확보를 위해 신속한 법적 기준 마련과 정부 차원의 연구개발(R&D) 및 시범사업, 직·간접적인 인센티브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바닷길에서도 친환경 전쟁 막 올라
항공유를 시작으로 하늘길이 친환경 전장으로 변한 것처럼 바닷길 역시 마찬가지다. 국제해사기구(IMO)는 3∼7일 영국에서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를 열고 ‘2050년 넷제로’를 선언했다. 2050년 국제 해운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2008년 이산화탄소 배출량(7억9400만 t) 대비 50% 수준에서 100%로 올려 잡은 것이다. 목표 달성을 유도하기 위해 IMO는 탄소세와 연료표준제도 등 경제적·기술적 조치를 2025년 승인 및 채택하고, 2027년 발효하기로 했다. 해운업체들은 액화천연가스(LNG), 메탄올, 암모니아 등 대체 연료들 중에서 신규 선박 연료를 선택해야 하는 ‘기로의 순간’에 놓였다.
국내 조선사들 또한 메탄올과 암모니아 등 차기 대체 연료 선박 개발 및 수주전에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MEPC 회의에서 2050 넷제로가 공식 공표되면서 업체들의 차기 친환경 연료 선택이 분주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