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이대로면 취업자 평균연령 54세…국가 경쟁력 위태”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0일 14시 36분


코멘트

대한상의 SGI ‘취업자 고령화’ 보고서
2022년 46.8세에서 2050년 53.7세로
OECD 평균 43.8세보다 9.9세 높아
고부가 산업 주축인 20~30대 줄어 위기

서울 지하철 종로3가역에 일회용 무임승차권을 발권할수 있는 무인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 뉴스1 제공


국내 취업자 평균 연령이 현재 47세에서 2050년 54세까지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20~30대 취업자 비중 감소는 고부가 산업에서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1일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보고서를 통해 국내 취업자의 평균연령은 2030년 50세를 넘어서고 2050년 53.7세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통계청의 장래 인구추계 바탕으로 현재의 성별 및 연령별 고용률이 유지된다는 가정에 따른 것이다. 경제협력기구(OECD) 2050년 취업자 평균 연령인 43.8세보다 9.9세 높은 수치다. SGI는 지난해 취업자 평균 연령을 46.8세로 추정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SGI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젊은 기술 인재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공급이 매우 중요한데 국가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커다란 지장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출산율 저하가 예상보다 심화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취업자의 고령화 속도는 예측치보다 더 빠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고령 노동자가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낮은 저위기술,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주로 활동한다는 점도 문제다. SGI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 중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섬유(52.6%) 등 저위기술 산업에서 취업자의 절반 이상이 50세 이상이었다. 서비스업은 부동산(67.8%), 사업지원(57.1%) 등 저부가가치 업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약(15.7%), 전자·컴퓨터·통신기기(18.2%) 등의 제조업, 정보통신(16.8%), 전문과학기술(23.8%) 등 서비스업 부문에서는 고령층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김천구 SGI 연구위원은 “기업은 고위기술직을 뽑을 때 초기 투자비용을 충분히 회수할 가능성이 높은 젊은 인력을 선호한다”며 “앞으로 20~30대 인구가 급감하는 인력공급 환경에서 고위기술 제조업에 속한 기업들이 구인난에 시달릴 수 있다”고 했다.

지역별로도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지역의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김 연구위원은 “지역별로 고령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면서 수도권 중심으로 고위기술 업종이 집중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문제가 인력 매스매치와 산업경쟁력 저하, 지방소멸 등과 연결돼 있기 때문에 출산율 제고, 취업자 생산성 향상, 산업별 인력 수급 문제 해결 등 종합적인 대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