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가계에 누적된 초과저축(기존 저축 수준을 넘어서는 저축분)이 최대 129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4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한국 가계의 초과저축 규모가 101조~129조 원 수준인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 민간소비의 9.7~12.4%에 달한다. 가계 저축률은 코로나19 이전(2015년~2019년) 평균 7.1%에서 코로나19 이후(2020년~2022년) 평균 10.7%로 상승했다.
보고서는 초과저축이 늘어난 것에 대해 “팬데믹 직후에는 소비감소가, 지난해에는 소득증가가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초반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정부의 방역 조치로 인해 소비가 비자발적으로 줄면서 저축이 늘었고, 지난해엔 고용 호조와 임금 상승,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등이 저축 증가의 주요 원인이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가계들이 초과저축을 통해 소비를 늘리거나 대출을 갚기보다는 예금이나 주식·펀드 등 금융자산 투자에 치중한 것으로 추정했다. 2020~2022년 가계의 금융자산은 1006조원 늘어났는데 이는 직전 3개년 증가분(2017~2019년 591조 원)과 비교해 70.2% 불어난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 가계들이 초과저축으로 예금이나 주식 등 금융자산에 투자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여윳돈으로 대출을 갚거나 소비를 하기보다는 실물경제 등에 대한 높은 불확실성 때문에 일단 돈을 묻어놓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다만 한은은 초과저축이 향후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될 경우 주택 가격 상승이나 부채 축소 지연 등 금융불안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