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커지는 지방 부동산]
상업용 부동산도 양극화 확대
공실률 서울 8%-울산 22%-세종 20%
지역 경기의 바로미터로 꼽히는 상가 시장은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서울은 관광객 등 유동인구 증가로 임대료가 오르고 공실률이 떨어지는 추세이지만, 지방은 인구 감소와 소비력 감소 등을 겪으며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연면적 330㎡ 이상인 중대형 상가의 임대료는 전 분기 대비 0.03% 하락했다. 연면적 330㎡ 이하인 소규모 상가(―0.14%), 집합상가(―0.11%) 임대료도 떨어졌다.
하지만 서울만 따로 놓고 보면 상가 임대료는 오르고 있다. 서울의 중대형 상가 임대료는 전 분기 대비 0.27% 올랐다. 젊은층이 몰리고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팝업스토어 등이 운영된 중대형 상가의 경우 충무로 상권과 뚝섬 상권이 전 분기보다 각각 1.40%, 1.70% 올랐다.
서울은 소규모 상가와 집합상가도 전 분기보다 0.26%, 0.13% 올랐다. 반면 17개 지방자치단체 중 서울과 충남을 제외한 15곳은 상가 임대료가 일제히 하락했다. 전북에서는 관광지를 제외한 대학가, 구도심 지역 등에서 폐업이 발생하며 중대형 상가 임대료가 전 분기보다 0.47% 떨어졌다. 세종은 상가 공급 과잉으로 집합상가 임대료가 같은 기간 0.28% 하락했다.
공실률에서도 서울과 지방 간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공실률(13.5%)은 전 분기보다 0.2%포인트 올랐다. 서울(8.4%)과 달리 △울산(21.6%) △세종(20.1%) △경북(19.5%) △전북(18.3%) 등은 전국 평균치를 크게 넘는 상황이다.
김종율 보보스부동산연구소 대표는 “지방은 누적된 인구 고령화와 소비력 감소에 경기 침체 심화 등으로 소매점 영업 자체가 어려워지고 있다”며 “상가 공실이 누적되며 지역 인프라와 상권이 침체되는 악순환이 우려된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