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 등 공적소득 26% 감소 영향
고금리 영향에 이자비용 42% 늘어
가처분소득 2.8% 감소 ‘역대 최대’
올 2분기(4∼6월) 물가 상승을 고려한 가구의 소득이 전년보다 4% 가까이 줄며 역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로 이자 비용까지 늘어나면서 가구의 소비 여력도 사상 최대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9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0.8% 줄었다. 2009년 3분기(7∼9월)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물가 상승 요인을 걷어내면 소득은 더 크게 줄었다. 2분기 실질소득은 1년 전보다 3.9% 줄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재산소득과 근로소득, 사업소득은 늘었지만 고물가에다 나라가 주는 각종 지원금인 공적(公的) 이전소득이 26.4% 줄어든 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지난해 5월 지급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효과가 사라졌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취업자 수가 늘면서 근로소득은 9개 분기 연속 늘었지만 지난해 공적 이전소득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총소득은 줄었다”고 설명했다.
치솟은 물가는 가구 씀씀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65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4.1% 늘었다. 생활에 필요한 상품, 서비스 구입 비용을 뜻하는 소비지출은 269만1000원으로 2.7% 늘었다. 다만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소비지출은 0.5% 줄었다.
이자나 사회보험료를 내는 데 쓴 비(非)소비지출은 8.3%로 증가 폭이 더 컸다. 특히 고금리 영향으로 이자 비용이 크게(42.4%) 늘었다. 자동차 소비 증가로 취득·등록세 지출이 늘면서 비경상 조세도 95.0% 증가했다.
소득은 줄어드는데 이자 등으로 내야 할 돈은 늘어나면서 가처분소득은 사상 최대 폭으로 줄었다. 실제로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은 월평균 383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2.8% 줄었다. 통계 집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4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3.8% 줄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1년 전보다 3.8%포인트 상승한 70.2%로 집계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