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4년째 운영해온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제도가 다음 달 종료되면 부실이 한꺼번에 터질 수 있다는 일각의 ‘9월 위기설’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세훈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29일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연착륙 현황’을 발표하면서 “만기연장, 상환유예 중에서 9월 말 만기를 맞는 것이 거의 없다”며 “지원 조치가 일시에 종료돼 부실이 동시에 터진다는 맥락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앞서 은행권은 2020년 초 정부 방침에 따라 중소기업, 소상공인의 대출 원금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유예했다. 당초 시한은 그해 9월이었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연장을 거듭해 왔다.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내달 말 상환유예가 종료되면 자영업자, 중소기업 위주로 대출 연체율이 올라갈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한 바 있다.
금융위는 지난해 9월 만기 연장에 대해 2025년 9월까지 2년간의 추가 기간을 부여하기로 했다. 만기 연장이 전체 지원액의 93%를 차지하는 점을 고려하면 대출잔액의 대부분이 2년 뒤 만기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 처장은 “금융기관들도 관련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 손실 흡수 및 채무 조정 능력을 갖춘 상황”이라며 “부실이 불가피할 경우 금융사 자체 연착륙 지원 프로그램, 새출발기금 등의 채무 조정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만기연장·상환유예 지원액(대출잔액)은 76조2000억 원, 이용자 수는 35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작년 9월 말 대비 대출잔액은 24%, 이용자 수는 20%가량 줄어들었다. 자금 사정이 개선돼 정상 상환하거나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로 갈아탄 사례가 많다는 게 당국의 분석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