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인구 1억’ 필리핀과 FTA 서명… 한국車 무관세 수출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9월 8일 03시 00분


아세안國중 5번째로 양자간 체결
농산물 수입 세이프가드 장치 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인도네시아 스마랑에서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아세안 회원국 통상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20차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인도네시아 스마랑에서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아세안 회원국 통상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20차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진행 중인 가운데 한국과 필리핀이 자유무역협정(FTA)에 정식 서명했다. 이번 FTA로 한국산 자동차 관세가 철폐돼 수출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알프레도 에스피노사 파스쿠알 필리핀 통상산업부 장관은 7일 자카르타 랭햄 호텔에서 양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한-필리핀 FTA에 정식 서명했다.

이로써 필리핀은 아세안 지역에서 5번째로 한국과 양자 간 FTA를 맺은 나라가 됐다. 한국은 한-아세안 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아세안 국가 모두가 참여하는 다자간 FTA와 함께 싱가포르,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와 FTA를 체결한 바 있다.

필리핀은 인구가 1억1000만 명(세계 12위, 아세안 국가 중 2위)에 달하고, 내수 비중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70%에 이르러 높은 소비 잠재력을 가진 나라로 평가받는다. 니켈 생산량 세계 2위, 코발트 생산량 세계 4위로 핵심 광물을 대량 생산하는 국가이기도 하다. 지난해 기준 한국과 필리핀 교역액은 175억 달러(약 23조4000억 원)로 아세안 국가 중 다섯 번째로 많다.

이번 FTA로 한국은 필리핀에 대해 전체 품목 중 94.8%, 필리핀은 한국에 대해 96.5% 관세를 철폐한다. 특히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이 주요 수혜 품목으로 지목된다. 필리핀은 아세안 국가 중 자동차 수입 1위 국가다. 지난해 한국산 자동차의 필리핀 시장 점유율은 2.5%에 그친 데 비해 일본은 82.5%, 중국은 6.4%를 기록했다.

FTA가 발효되면 기존 관세율 5%인 한국산 자동차는 즉시 관세가 철폐되고, 기존 관세율 최대 30%인 자동차 부품은 최대 5년 내 관세가 철폐된다. 승용차 기준 일본은 관세율 20%, 중국은 5%를 적용받고 있다.

정부는 한국 측 민감 품목인 농·수·임산물의 경우 대부분 기존에 체결됐던 다자간 FTA 범위 내에서 개방 수준이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기존 관세율 30%인 바나나 등 일부 농산물은 5년 관세 철폐로 개방하되 수입이 급증하지 않도록 세이프가드 조치가 가능하도록 했다.

한-필리핀 FTA는 국회 비준 등 절차를 거쳐 이르면 내년 상반기(1∼6월) 중 발효될 예정이다.

#필리핀#fta#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자동차 무관세 수출#농산물#수입
  • 좋아요
    28
  • 슬퍼요
    1
  • 화나요
    0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 2023-09-08 07:54:47

    대통령은 나라를 위해서 외국에 나가 여러 성과를 만들어 내고 있는데 제1당 당대표는 본인 사법리스크때문에 간혈적단식하면서 땡깡을 부리고 있으니.. 너무 비교가 되는구나. 그것을 동조하는 민주당과 그 소속 국회의원들은 또 뭘까! 민주당은 해체되어 다시 만들어져야 하고 내년 총선에서 국민의 따가운 심판을 받아야 한다. 이념이 잘못된 586세대 국회의원들과 비리를 밥 먹듯 저지르고 있는 국회의원들.. 다 정리되어야 한다. 누구인지는 본인들이 잘 알것이다.

  • 2023-09-08 06:09:53

    필리핀에 수출하는 한국 자동차에 대한 무관세 수출이 이루어지게 되어서 대단히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아쉬운 점은 한국 자동차의 무관세 수출로 인해서 필리핀 내애서 판매되는 한국자동차의 현재 판매가격과 무관세 적용을 받게될 경우의 판매가격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이 아쉽다는 것이다. 현재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서 일본 자동자 가격과 한국 자동차 가격을 비교해보면 한국 자동차의 현지 판매가격이 월등히 비싸다는 것이다. 무관세 수출 시에 판매되는 한국 자동차의 현지 판매가격을 비교해중 수는 없는 것인가? 그것이 아쉽다.

  • 2023-09-08 13:57:13

    필리핀은 6.25 참전국으로 국민성도 거짓말쟁이 사기근성의 인도네시아와 다르고 둘 간은 서로 앙숙이다. 필리핀은 마땅히 도와주어야 한다. 우리 퇴역함정을 그들에게 우선 배정하기 바란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28
  • 슬퍼요
    1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