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SK하이닉스의 반도체 D램 관련 핵심 기술을 중국에 유출한 혐의 등을 받는 협력업체 임직원들이 1심 재판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2021년 1월 재판에 넘겨진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형사 사건의 경우 1심 판결이 나오는 데 평균 5∼8개월이 걸린다. 업계에서는 기술 유출이라는 사건의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재판이 너무 길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사건을 심리한 서울중앙지법 형사 25-3부는 해당 사건 기소 이후 재판부 구성이 세 차례나 바뀌었다.
기술 유출 범죄에 대한 법원 1심 재판 10건 중 6건은 1년을 넘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 판단이 늦어지면 피해 기업들은 관련 대응이 늦어져 2차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첨단 기술 확보 전쟁이 치열하게 펼쳐지는데 국내 사법 시스템이 이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20일 양향자 한국의희망 의원이 대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산업기술보호법 위반 관련 법원 미제 사건 현황에 따르면 올 6월 기준 1심 재판이 진행 중인 79명 중 35명(44.3%)은 기소 후 2년이 초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1년이 초과된 13명(16.5%)까지 합하면 60%가 넘는다. 심리 기간이 2년이 넘으면 법원에서는 ‘장기 미제’로 분류한다. 심리 기간 2년을 초과한 피고인 수는 2021년 말 12명에서 지난해 말 19명, 올해 6월 35명으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기준을 ‘1년 초과’로 바꿨을 때도 2021년 말 28명에서 올해 6월 48명으로 20명(71.4%) 증가했다.
“기술유출 재판, 3심까지 5년… 노하우 뺏기고 손배청구 차질”
[글로벌 첨단기술 전쟁] 기술유출 재판 44%, 1심만 3년째 ‘SK 반도체’ 32개월만에 1심 선고 아직 ‘국제대응-손배’ 절차 못밟아
“벌써 3년 가까이 지났는데 앞으로 2심, 3심까지 끝나려면 5년은 족히 걸릴 겁니다. 그때는 이미 옛날 기술이 돼버려 민사소송을 하더라도 피해 규모가 저평가될 수밖에 없겠죠.”
13일 SK하이닉스의 D램 관련 기술 유출 혐의를 받는 임모 씨 등이 1심에서 징역형을 받은 뒤 반도체업계 한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기술 유출 범죄는 적발도 어렵지만, 다행히 범인을 찾더라도 이미 천문학적 규모의 피해를 입은 뒤인 경우가 많다. 국가정보원이 2018∼2022년 5년간 적발한 산업기술 유출 사건은 93건, 피해액만 25조 원으로 추산된다.
형사 사건에 대한 판단이 빨리 나오면 민사소송을 통해 일부라도 보전받을 수 있지만 그마저도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임 씨 재판은 선고일을 포함해 총 19번의 공판이 열렸다. 피해 기업인 SK하이닉스는 기술을 건네받은 중국 회사는 물론이고 임 씨 등에 대해 아직 손해배상 청구 절차를 밟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지식재산 전문 변호사는 “보통 형사 사건의 판결이 먼저 나온 뒤에야 민사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설령 소를 제기하더라도 손해배상 시점이 늦어진다”고 지적했다. 산업계에서 “기업의 시간과 법원의 시간은 다르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20일 대법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형사공판 사건 피고인 11만3701명 중 1심에서 2년을 넘긴 피고인 수는 4781명(4.2%)이었다. 하지만 산업기술보호법 위반 사건으로 범위를 좁히면 ‘2년 초과’인 경우가 81명 중 19명(23.5%)으로 비중이 6배에 가깝다. ‘1년 초과’로 범위를 조정하더라도 전체 형사 사건(13.7%)보다 기술 유출 사건(59.3%)에서의 비중이 훨씬 높다.
올해 6월 파장을 일으킨 ‘삼성 복제 공장’ 시도 사건 또한 업계에서는 이미 재판 장기화를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중국에 삼성과 똑같은 공장을 지으려다 6월 구속 기소된 삼성전자 상무 출신 최모 씨는 최근 삼성엔지니어링, 삼성디스플레이 등의 자료까지 빼돌린 혐의로 추가 기소되기까지 했다. 최 씨는 로펌 4곳을 선임해 무죄를 적극 주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핵심기술 유출에 대해서는 신속하고 엄정한 처벌이 뒤따라야 내부자나 외부 경쟁사의 시도 자체를 줄일 수 있는데, 한국 실정에서는 오히려 또 다른 유혹을 심어줄까 우려될 정도”라고 말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기술 패권 다툼 속에서 중국, 미국 등 경쟁국으로부터의 기술 탈취 시도는 빈번해지고 고도화되는데, 사법부 역량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도체 기술 유출과 같은 전문적인 경제 사건을 다루는 재판부는 한정돼 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 25부(25-1∼3)만 하더라도 식품, 보건 사건도 함께 다룬다. 피고인 수는 점점 늘어가고 사안은 복잡해지는데, 이를 소화할 수 있는 판사들은 소수뿐인 셈이다. 재경 지법의 한 판사는 “우선 전담 재판부를 늘려 문제를 해결해 보는 등의 접근도 필요하다”고 했다.
정치권 일부에서 민형사를 아울러 지식재산 관련 법원의 전문성을 강화하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양향자 한국의희망 의원은 특허법원을 기술 유출 및 침해 사건의 전속 관할 법원으로 지정하는 법안을 조만간 발의할 예정이다. 양 의원은 “일본, 대만은 전문 법원을 통해 기술 유출 및 영업비밀 침해 사건을 통합해 처리한다”며 “국내는 기술 침해 사건에 대한 전문 법원이 없고 전담 재판부도 2년마다 순환하는 등 기술 전문성을 가질 수 없는 환경”이라고 준비 배경을 밝혔다.
사법정의 지연은 이제 단순히 사법부의 업무지연 차원을 넘어서 우리사회의 발전을 방해하는 수준까지 다다른 느낌이다. 재판처리기한을 설정할 수 없다는 구태의연 논리를 뛰어넘어서 획기적으로 신속한 재판진행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사법정의 집행시점이 마냥 대책없이 늦어질수록 결국 모든 피해는 우리 사회 전체가 입게 되며, 입법사법행정의 한 축인 사법부의 존재가 유명무실하게 될 수도 있다.
2023-09-21 14:07:35
대한민국 사법부의 존재 이유가 무얼까? 하는 근본적인 물음을 가져 봅니다.
2023-09-21 13:37:34
판사를 AI로 변경해함 공평하고 신속한 판결 좌우로도 치우치지도 않음
2023-09-21 13:34:55
명수의 법원은 곳간에 있는 기술이 털려 나라가 기우는데 별 관심이 없어 소속이 어느 국가인지 모르겠다.
2023-09-21 13:32:41
친중정권이었던 전 문재인정권에서 중국에서 기술유출한 것을 감히 법으로 처단하겠나??? 이제 윤석열정권의 새로운 대법원장이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법부를 만들면 비로소 대한민국에서 기술유출해간 중국쪽도 법대로 처단할수있겠지~~~
2023-09-21 13:01:18
재판을 아무리 지연시켜도 판결을 아무리 잘못해도 책임을 전혀 안지는 이게 나라인가요? 우리나라의 유일한 해방구역이 법원이 아닌가 싶어요. 판결 봐주고 천문학적인 뇌물을 받아 쳐먹는 것도 부족해서 1심 재판만 몇년씩을 하는동안 범법자는 활개를 치지요. 판사놈들은 대충 다 쳐죽여야 합니다.
2023-09-21 12:26:15
한국 대법원장이 늦어진 정의가 참된 정의라고 주장하지 않았던가? 실력이 없으면 AI판사 도입해서 판사제도를 개혁해야지. ㅋ
댓글 19
추천 많은 댓글
2023-09-21 05:19:26
개맹수 놈이 하는짓거리다!
2023-09-21 05:43:40
판새가 문송이라서..
2023-09-21 06:44:48
정신없이 돌아가는 국제 정보화 시대의 경쟁 속에 뒤돌아 앉아 장죽만 두두리는 곳이 법원이다. 아예 법원을 폐쇄하고 대안을 찾아라. 대법원장이란 자리에 더러운 작자 한 명 잘못 뽑아 놓으니 사법체계가 훈들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