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지역 소형공항인 흑산, 백령 공항도 울릉공항처럼 80인승 항공기 운영에 맞춰 기존 설계를 변경하거나 계획을 선회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애초 현실성이 없었던 50인승 기준 계획을 세웠던 데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3개 공항 모두 추가 부지나 사업비 확보가 어렵다는 이유로 이착륙 시 조종사 눈에 의지하는 ‘시계비행’ 기준으로 운영될 예정이어서 안전성과 정시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6일 본보가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도서 소형공항 시설개선 방안 검토’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울릉과 흑산, 백령 공항 모두 공항 등급을 ‘2C’에서 ‘3C’로 변경하기로 했다. 공항은 취항할 항공기의 날개폭과 최대이륙거리 등에 따라 등급이 나뉜다. 2C는 50인승, 3C는 80인승 항공기에 해당하는 등급이다. 울릉공항과 흑산공항은 2013년, 백령공항은 지난해 각각 2C 기준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국내 항공사는 현재는 물론이고 앞으로도 50인승 항공기를 도입할 계획이 없다. 이에 국토부는 뒤늦게 프랑스 ATR의 ‘ATR 72’와 브라질 엠브라에르의 ‘E190-E2’ 등 80인승 항공기 취항을 고려하고 있다. 이 비행기들이 취항하려면 기존 설계안보다 활주로 양옆과 끝단의 안전구역인 ‘착륙대’가 훨씬 넓고 길어야 한다. 활주로 끝에도 더 긴 종단안전구역이 필요하다.
항행 시설의 도움을 받아 이착륙하는 계기비행 방식을 유지할 경우 공항 규모를 2C에서 3C 등급으로 올리려면 착륙대 폭은 최대 280m로 늘려야 한다. 이 경우 공사비가 기존의 1.5∼2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국토부는 보고 있다. 해상 매립 형태인 울릉공항의 경우엔 공사비가 현재 약 7500억 원에서 1조5000억 원까지도 불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이 때문에 국토부는 비행 방식을 계기비행에서 시계비행 기준으로 설계를 변경하고 있다. 시계비행은 조종사가 직접 눈으로 지형지물 등을 확인하며 비행하는 방식이다. 시계비행 공항은 3C 등급이라도 착륙대 폭을 150m까지만 늘려도 돼 울릉공항의 경우 수십억∼수백억 원의 공사비만 더 들이면 된다. 실제 흑산공항은 착륙대 폭을 기존 80m에서 150m로, 종단안전구역을 30m에서 90m로 설계를 변경했다. 울릉공항은 착륙대 폭을 140m에서 150m 늘리기로 했다. 백령공항은 설계 기본 계획을 확정하는 단계다.
하지만 시계비행은 악천후나 안개, 야간 등에는 이착륙이 어려워 섬 지역에서는 수시로 결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 항공사의 한 조종사는 “시계 비행을 할 경우 항행 안전과 관련한 다양한 장치를 마련하는 등 안전 관련 대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며 “지금 상태로는 승객이나 조종사 모두가 회피하는 유령 공항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설계 또는 기본계획 변경이 이뤄지면서 공항 개항 시기도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울릉공항은 당초 2025년에서 2026년 초로 이미 개항을 미뤘다. 흑산과 백령공항은 2027년 개항이 목표지만 새로운 기준에 따른 설계안을 마련해야 해 일정이 더 늦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박 의원은 “근시안적 공항 정책으로 설계와 사업비가 수없이 변경되며 안전성, 효율성을 담보할 수 없는 누더기 공항이 되고 있다”며 “국민과 업계가 납득할 수 있는 안전대책 등을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채산성 없는 공항 정치인 지역 산물인데 왜 국고 축내며 만드나 현충원가 무안공장 폐기품 김대중 한테 보상 청구 하라 가덕도 부산공항 제 정신에 하는가 도대체 선거만 하면 공항의 출산 어느 놈들이 책임질거냐 10원들일거 만원들이는 가덕도 공항 부산시민 박수 받으려 짖는 공항? 제 정신이냐 차라리 비례대표 나한테 줘 이제명 기각 개판사 유창훈 봐라 1순위 받을 자다
2023-09-27 04:49:25
관광 목적의 울릉도인 경우 시계비행이 않될 정도의 기상 상태라면 관광에는 부적한 날씨다. 울릉도-백령도는 시계비행에 현공사비보다 2배정도 더 투입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2023-09-27 07:15:57
수상기 운영 않고 활주로를 계속 건설하려는 이유는 뭔가요??? 돈은 누가 대는건가요? 공무원? 아님 업자??? 국민이 봉인가요????? 울릉도도 마찬가지이고...ㅊㅊㅊ
울룽공항은 채산성도 중요하지만 동해 및 독도구역 항공작전을 고려한 군사적 목적도 반영해야 한다
2023-09-28 11:17:45
애시당초 하이에어가 가진 78인승 비행기도 1200미터에서 운용 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거 했는데도 비전문가들인 기자, 정치인, 공무원들이 떠들면서 공사비만 늘어나는거 아닌가요? 당신들이 적자나면 책임 질거에요? 대체 조종사들이 운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데 왜 이렇게까지 언론질인가요? 경상북도도 계속 엠브라레 비행기 언플할거면 회사나 설립하고 비행기 갖고 와서 떠들던가, 국민들이 민원내면 비행기 갖고 오고 얘기하라면서 자신들은 비행기도 회사도 없이 나라 돈으로 자신들이 원하는거 다 짓고 난리네요.
2023-09-28 11:11:10
자꾸 50인승이 없다고 그러는데, 80인승은 우리나라에 있나요? 주력기종이 80인승으로 바뀐다는 말은 대체 뭘 근거로 그렇게 쓰나요? 우리나라에 한대도 없는 80인승이 외국에는 주력이라는 건가요? 대체 뭔 말도 안돼는 말로 국민들 그중에 조종사도 있는데 국민들을 기만하려 하나요? 지금 하이에어도 운항중지 중인데 당신들 말대로면 국내에는 울릉도에 취항할 항공사가 없으니 울릉공항은 취소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취항할 회사가 없는데 공항을 짓는건 당신들 말에 자가당착이잖소? 그리고 조종사에게 시계비행은 기본중에 기본.
2023-09-27 11:59:44
섬에다가 공항 만드는 게 무슨 아파트 짓는 건줄 아냐? 비정치적인 전문가에게 자문 구하고, 민간 자본 들여서 이왕 하는 거 울륭한 공항, 울륭한 관광지로 개발해라!! 울릉도 같은 경우는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전략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곳이다.
2023-09-27 11:40:19
민간80인승이면 c-130수송기랑 거의 같은 크기네 fa50 정도면 가볍게 이착륙 가능 하겠구만.
2023-09-27 11:08:35
울릉흑산백령공항은 군사적 목적도 있으니 불만있더라도 이해들 하시길... 우리나라 불침항모기능 완비!
2023-09-27 10:42:04
이 작은 나라에 웬 공항이 이리도 많냐? 정치적으로 만든 양양공항, 울진공항, 무안공항, 지금 어떤 상태냐? 이러니 공항들이 적자를 면치 못하지. 지어 놓으면 뭘하냐.... 운영도 제대로 못하고 국가 예산 잡아먹는 하마로 전락하는데... 울릉도는 모르겠는데 흑산공항? 백령공항? 아마도 공항이 아니라 공황이 되것다.
2023-09-27 10:01:11
울릉도는 그렇다치고 백령도와 흑산도에 웬 공항 ? 특히나 흑산도는 자기아이 다니는 학교선생도 강간하는 주민들이 있는섬 아닌가 ? 공연한 예산 낭비 하지말고 철회가 답이다.
2023-09-27 09:13:27
설계 감리 업계의 대대적 쇄신이 필요하다.원장관은 이들 문제를 철저히 파헤쳐 쇄신하길 바란다
2023-09-27 07:44:16
하늘을 영토개념으로 보라. 영토를 수호하고 보강하는 사업이다. 동해 끝단, 서해 끝단, 남쪽 끝단이 강화된 것이다. 중국, 일본은 조그만 바위섬도 보강하여 활주로를 깔고 영공방어를 한다. 제발 눈을 크게 떠라. 변기자님...
댓글 14
추천 많은 댓글
2023-09-27 03:23:16
채산성 없는 공항 정치인 지역 산물인데 왜 국고 축내며 만드나 현충원가 무안공장 폐기품 김대중 한테 보상 청구 하라 가덕도 부산공항 제 정신에 하는가 도대체 선거만 하면 공항의 출산 어느 놈들이 책임질거냐 10원들일거 만원들이는 가덕도 공항 부산시민 박수 받으려 짖는 공항? 제 정신이냐 차라리 비례대표 나한테 줘 이제명 기각 개판사 유창훈 봐라 1순위 받을 자다
2023-09-27 04:49:25
관광 목적의 울릉도인 경우 시계비행이 않될 정도의 기상 상태라면 관광에는 부적한 날씨다. 울릉도-백령도는 시계비행에 현공사비보다 2배정도 더 투입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2023-09-27 07:15:57
수상기 운영 않고 활주로를 계속 건설하려는 이유는 뭔가요??? 돈은 누가 대는건가요? 공무원? 아님 업자??? 국민이 봉인가요????? 울릉도도 마찬가지이고...ㅊㅊ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