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블릿 시장 1위인 애플이 아이패드 모델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적용한다. 예상 초도 물량은 1000만대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모두 공급하면서 경쟁사인 중국과 일본에는 납품하지 않을 전망이다.
23일 업계는 애플의 내년도 태블릿 OLED 패널 구매량을 1000만대로 추산한다. 크기별로 보면 11인치 600만대, 13인치 400만대로 이 중 LG디스플레이 공급량은 600만대(11·13인치 모두 공급)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여기서 400만대(11인치 공급)를 납품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패널업체가 아이패드용 OLED 패널 전량을 공급하며 아이폰 시리즈의 경우 삼성디스플레이가 최대 공급사였지만, 아이패드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메인 공급사 역할을 맡는다.
그동안 경쟁사였던 중국 BOE, 일본 샤프 등은 OLED 기술에서 2~3년가량 한국에 밀려 수주를 따내지 못 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블릿·노트북용 OLED는 스마트폰보다 제품 사용 주기가 길어 패널 수명과 크기 등으로 제조 난이도가 높아 한국 기술이 앞선 상태다.
패널이 커지면 OLED 증착 공정의 필수 부품인 파인메탈마스크(FMM)도 크기가 같이 커져야 하는데 얇은 금속판인 탓에 다루기가 어렵다. 삼성과 LG는 선제적 투자를 통해 얇은 FMM이 공정을 거쳐도 처지지 않도록 보완할 수 있는 역량을 쌓아온 반면 중국 등 경쟁 업체들은 아직 휴대폰 크기를 뛰어넘는 중·대형 OLED 패널 제조에는 노하우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LG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국내 디스프레이 업계의 실적 회복이 예상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아이패드 OLED 패널 판가가 아이폰 대비 약 3.4배 높아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신규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추정되며 생산 초기부터 좋은 수익성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디스플레이 업계는 애플이 내년 아이패드 프로를 시작으로 전 제품에 OLED 패널 채택을 확대할 것으로 본다. 애플은 2014년 애플워치, 2017년 아이폰에 OLED 적용을 시작해 빠르게 OLED로 제품을 전환하고 있어 중·대형에서도 속도가 붙을 것이란 추측이다.
2026년 이후에는 폴더블 OLED도 적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2026~2027년 출시될 맥북 등 태블릿이나 노트북 등 큰 화면의 기기에 폴더블 OLED를 채택하면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해질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BOE도 8.7세대 생산라인 투자를 준비하고 있지만 아직 애플과 협의가 완료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며 “태블릿이나 노트북용 OLED는 기술 격차가 더욱 벌어진 상황이라 국내 기업들의 수준을 따라잡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중국의 추격은 예의 주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은 항상 공급 라인 다변화를 통해 부품 거래에서 협상 우위를 점하고 안정적인 수급이 목표이기 때문에 중국 업체들의 견제를 늦춰선 안 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