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판’ 철근누락 LH 2곳 추가 확인… “민간선 부실 없어”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0월 24일 03시 00분


국토부, 전국 427곳 전수조사
LH 총 23곳… 감독 부실 도마에

정부가 무량판 구조로 지은 민간 건설사 아파트 등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짓지 않은 아파트 총 427개 단지를 전수 조사한 결과 철근 누락 등 부실시공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LH의 철근 누락 단지는 이번에 2곳이 더 나와 주차장이 붕괴된 인천 검단아파트까지 합하면 총 23곳이 됐다. LH가 비용 절감에만 치중하고 관리·감독을 소홀히 하면서 철근 누락이 LH 아파트에 집중됐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LH는 23일 기존 무량판 부실시공 조사에서 빠진 단지 30곳에 대한 긴급안전 점검을 벌인 결과 의왕초평A3·화성비봉A3 등 2개 단지에서 철근 누락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LH가 조사한 무량판 아파트 121개 단지 중 철근 누락 단지는 총 22곳으로 늘었다. 주차장 붕괴사고가 일어난 검단아파트까지 합하면 23곳이다.

의왕초평A3 단지(준공)는 철근이 필요한 기둥 918개 중 46개 기둥의 철근이 시공 과정에서 누락된 것으로 파악됐다. 화성비봉A3 단지(2025년 6월 입주 예정)는 기둥 921개 중 28개 기둥의 설계과정에서 철근이 빠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 단지들은 11월 말까지 보강공사를 하기로 했다.

이날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8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실시한 전국 민간 427개 무량판 아파트 전수조사에서 철근 누락이나 콘크리트 강도 부족 등 부실시공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조사는 민간 아파트 378개, LH를 제외한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 지방 주택도시공사가 발주한 공공분양·임대주택 49개 단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민간 아파트에서는 철근 누락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LH의 관리 감독 부실에 대한 비판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LH에 따르면 공공주택을 연간 6만3000채 무량판 구조로 지을 경우 보와 철근, 거푸집량 감소로 한 해 751억 원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무량판 구조는 철근 배근 등이 복잡해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해야 하지만, LH가 제 역할을 못한 데다 설계나 시공 오류를 잡을 감리회사도 LH 출신의 전관업체로 자체 선정하며 부실이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검단아파트 사고조사위원장을 맡은 홍건호 호서대 건축토목공학부 교수는 “지방 중소 건설사는 여전히 LH의 재래식 공법으로 무량판 구조를 시공해 이를 관리·감독할 감리나 현장 직원의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무량판#철근누락#lh 2곳 추가 확인
  • 좋아요
    2
  • 슬퍼요
    0
  • 화나요
    2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23-10-24 10:52:58

    현장일 한번도 안해 본 인간이 처방을 낸다. 헛소리 말고 니가 감리해 봐라!!! 왜 잘 안되는지.

  • 2023-10-24 07:36:07

    무량판 구조가 아닌 아파트는 등기부에 무량판 구조가 아니라고 기재하랴... 그러면 무량판 아파트는 사라진다...이익이 되면 무량판으로 짓지만 ...분양이 안되면 지을 이유가 없지...

  • 2023-10-24 23:17:54

    선거에서 좌파에게 매번 지면서도 이유조차 모르는 멍청한 우파. 좌파는 ‘우리는 정의롭고 쟤들은 악당이야’라고 믿게 만드는 정신적 지주만 무너지면 쉽게 붕괴하는데 그 분별조차 못함. 좌파의 정신적 지주가 ‘반미,반일 사상’인데, 그리 믿게 만든 한국사 교과서의 80% 이상이 날조된 사기. 일제강점,수탈,학살,임진왜란,명성황후,위안부 등 일본관련 한국사 98%는 소설. 사기국사.사기이념만 바로잡으면 좌파는 붕괴. ‘한국의 역사조작’ 검색 https://blog.naver.com/smrbooks/222701149249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2
  • 슬퍼요
    0
  • 화나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