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무선충전·인덕션 전자파 괜찮을까”

  • 뉴시스
  • 입력 2023년 11월 1일 03시 58분


코멘트

국립전파연구원 '전자파안전포럼'…생활환경 전자파 궁금증 해소
"전자파 차단 콘센트, 사실상 효과 없어…정부 기준 믿고 따라야"

#직장인 A씨는 휴대폰 충전을 선 없이 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매일 사용한다. 충전선을 휴대폰에 꼽았다 뺐다를 반복하다보니 자주 망가지고, 잃어버리는 경우도 빈번해 무선충전기를 선호한다. 걱정은 전자파다. 무선충전을 하는 동안 전자파가 많이 나올까봐서다.

#B씨는 가스레인지에서 인덕션으로의 교체를 고민하고 있다. 화재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데다 가스레인지를 이용할 때 나오는 유해물질에 노출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다. 하지만 전자파가 우려가 돼 선뜻 나서지 못했다.

3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생활환경 전자파에 대한 국민의 궁금증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전자파안전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사전 질의를 통해 접수된 생활환경 전자파 질의에 대한 전문가들의 설명과 발표가 이어졌다.

김남 충북대학교 교수는 점점 늘어나는 ‘무선전력전송’과 관련해 설명했다. 그는 “최근 기술 발전으로 에너지를 무선으로 보내는 게 핫 이슈”라며 “편리함이 있지만 거리를 띄울수록 전자파가 많이 나온다. 무선충전 활성화를 위해서는 많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보편화 되고 있는 휴대폰 무선충전기, 인덕션, 쿠커 등 무선충전기의 전자파 영향에 대해서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휴대폰 무선충전기와 같이 접촉식 무선충전은 전자파가 밖으로 거의 나오지 않는다”고 했다.

인덕션, 쿠커 등에 대한 전자파에 대해서는 “측정 결과 전자파가 많이 나오지 않고 사용 중 조금만 떨어져 있으면 영향이 급격하게 줄어든다”며 “부엌에서 사용할 때에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전자파 차단 제품의 효과에 대한 설명도 이뤄졌다. 김기회 국립전파연구원 연구관은 “전자파 차단 콘센트는 효과가 없다”며 “전자파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 주변에 형성되는 게 기본적인 물리현상인데, 일례로 차단 제품을 꽂고 드라이기 콘센트를 꽂아도 전류는 흐른다. 그렇지 않다면 드라이기는 제 역할을 못한다”고 말했다.

휴대폰 등에 붙이는 전자파 차단 스티커와 관련해서는 “전자파가 줄어들 수 있는데, 이는 휴대폰 안테나 특성을 안 좋게 만드는 것”며 “통신을 해야 하는 만큼 기본으로 전자파가 오가야 한다. 휴대폰은 결국 더 큰 출력으로 전파를 내보내게 된다”고 설명했다.

전자파 커튼 또한 외부 전자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휴대폰의 출력을 높여 전자파 발생량을 더 키운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관은 “전자파 차단 커튼을 설치한 방에서 휴대폰을 사용하면, 기지국과 멀리 있다고 인식해 통신이 될 때까지 출력을 높인다‘며 ”휴대폰에서 전자파를 더 나오게 하는 셈“이라고 했다.

이날 현장에선 ’전자파 제로‘ 제품에 대한 과대·과장 광고에 대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고민정 녹색소비자연대 사무총장은 ”한 소비자가 전자파 측정기를 구매했는데 한국전력으로부터 해당 측정기 효과가 없다고 해 환불해 달라는 내용, 전자파 검출 제로 제품이라고 샀는데 막상 알고 보니 그렇지 않다는 내용 등의 상담이 접수됐다“며 ”공정거래위원회가 표시광고법으로 제재를 하고 있지만, 다 모니터링하기가 어렵다. 식품표시광고법처럼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에 김 연구관은 ”공정위와 협의해 이런 부분을 국립전파연구원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에 대해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전자파 인체 영향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에 대해서도 공유됐다. 최형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박사는 ”우리나라는 전자파 인체영향연구와 관련해 세포/동물실험, 역학연구, 노출량 평가 연구 등을 5년 단위로 진행하고 있다“며 ”5G 상용화 이후 세계 최초로 인체에 주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실시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최 박사는 ”내년에는 유럽연합(EU)과 공동으로 휴대폰 사용과 청소년 인지와 관련한 역학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18개국이 진행하고 60개국이 참여한다“고 했다.

또 ”이런 연구 결과를 다 종합해서 세계보건기구(WHO)가 휴대폰 주파수에 따른 인체영향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며 ”내년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토대로 등급 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최 박사는 일부 시민단체에서 주장하는 기준에 따라 전자파에 대해 지나치게 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제언했다. WHO에서 권고하는 전자파 기준을 신뢰하고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일부 시민단체는 주파수 구분 없이 4밀리가우스(mG) 이상 전자파에 노출되면 소아백혈병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는 한 연구결과를 기준으로 정부가 안전하다고 한 제품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해 오고 있다.

우리 정부는 60Hz(일반적인 가전제품 주파수)를 기준으로 833mG를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으로 두고 있다. 국제비전리복사보호위원회(ICNIRP)는 2000mG를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최 박사는 ”WHO는 자의적으로 낮은 노출 제한치를 적용하는 정책이 정당하지 않다고 하고 있다“며 ”4mG를 적용하는 국가가 있는데 이는 어린이집과 같은 건물이 들어설 때 전력선에 대한 설치목표로 우선순위를 고려한 권고“라고 설명했다.

이어 ”손선풍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에 대해 4mG 기준을 적용하는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며 ”이는 인체 보호 기준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