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스트의 마켓뷰]공급망 재조정 속 기회 포착해야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1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황재곤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
황재곤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
미국의 태양광 밸류체인(공급망) 재구축이 중국을 제외한 한국 등 글로벌 국가들에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물량이 부족한 폴리실리콘이나 웨이퍼 등의 분야가 주목할 만하다.

지난해 미국의 태양광 설치량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미중 무역 갈등으로 중국산 모듈 수입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 정부는 재생에너지 확대 및 원활한 태양광 모듈 공급을 위해 정책적 유연성을 발휘했다. 지난해 6월 중국과 국경이 맞닿아 있는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4개국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해 2년간 관세 부과를 유예한 것. 사실상 중국산 모듈의 우회 수출을 허용한 셈이다. 태양광 모듈 공급 부족 문제가 해결되면서 올해 설치량은 전년 대비 50∼70%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유예 기간은 내년 6월 만료된다. 이에 따라 중국 업체의 경우 내년 상반기(1∼6월)에 많은 물량에 대한 통관을 진행한 후 내년 하반기(7∼12월)까지 기존 통관된 물량을 소진하는 전략을 쓸 가능성이 크다. 내년 하반기까지는 중국산 패널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지만, 그 이후부터는 관세 부과 효과가 서서히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에너지 기관들은 미국 내 태양광 관련 산업이 향후 5년간 연간 7∼8% 정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재생에너지 친화 정책 효과가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에서 진행 중인 태양광 증설 규모는 모듈 110GW(기가와트), 셀 48GW 정도다. 모두 실현될 경우 연 40GW의 미국 수요 충당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중국 중심의 태양광 밸류체인을 미국 내에서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글로벌 타 국가들에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양광 패널 제조의 핵심 소재인 폴리실리콘이나 웨이퍼 등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미국의 태양광 산업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전 세계 개인용 태양광 수요 1위 지역인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보조금 인하 정책은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주는 올해 4월부터 태양광의 전력 판매 단가를 기존 kWh(킬로와트시)당 32센트에서 8센트로 낮추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넷에너지미터링 개정안(NEM 3.0)을 시행했다. 매입 단가가 낮아지면서 소비자들의 태양광 설치 매력도 떨어지게 됐다. 캘리포니아를 제외한 다른 주에서는 주택용 태양광 시장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캘리포니아주의 감소를 상쇄하기는 역부족이다.

최근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등 불확실성 증가로 프로젝트 개발 수익성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지며 개발 활동도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됐다. 개발 중인 프로젝트의 감소는 향후 태양광 설치 물량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2025년의 태양광 설치 전망은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망 재조정#기회 포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