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통화 긴축 기조가 6개월보다 더 될 것이라는 생각이 현실적으로 많이 든다”라고 밝혔다.
현 상황을 보면 사실상 내년 상반기 말 무렵까지는 금리 인하가 어렵다고 시사한 셈이다.
이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3.50%로 7연속 동결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 직후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 장기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 중 ‘충분히 장기간’라는 문구에 담긴 의미를 묻자 이같이 답한 것이다.
이 총재는 “금리를 얼마나 유지할지는 몇개월이라고 얘기하고 싶지 않다”며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충분히 수렴한다는 확신이 있을 때까지 6개월이 더 될 수도 있고 덜 될 수도 있지만 하여간 충분히 오랫동안 긴축 기조를 가져가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물가 수렴까지 기간이) 현실적으로 6개월보다 더 될 거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고 언급했다.
이유는 한은이 예상하는 물가 수렴 시기가 내년 상반기가 아닌, 내년 말에서 내후년 초이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2%대 초반에서 2%까지 수렴하는 기간이 내년 말이나 2025년 초반 정도 되지 않을까 예측하고 있다”며 “미국은 내후년 중후반”이라고 설명했다.
ⓒ News1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원들도 당장은 금리 인하를 테이블에 올린 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향방을 둘러싼 금통위원 견해와 관련해 “금리를 추가 인상할 필요성을 열어두자고 한 금통위원이 6명 중 4명”이라며 “반면 물가뿐 아니라 성장과 금융안정을 함께 고려할 때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나타낸 이들은 2명”이라고 전했다.
추가 금리 인상 여지를 열어둔 위원들은 물가 상승률이 상향 조정된 상황과 함께 비용 압력 증대, 국제유가 움직임 등의 물가 관련 불확실성을 이유로 꼽았다.
지난달 금통위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도 열어두자고 했던 위원 1명은 그 가능성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재는 “지난 번에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자고 할 때에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있었고 물가도 많이 튀었다”며 “지금은 미국의 금리 인상 종료에 대한 인식이 확산했고 중동 전쟁 가능성도 주변 많은 나라들이 확전 생각은 없어 보인다”고 부연했다.
이밖에 이 총재는 전반적으로 시장을 자극할 만한 언급을 최대한 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총재는 “현 금리는 긴축적인 수준에 있다”며 “물가 상승률은 이제 두세달 동안 내려갈 것으로 보고 (물가 반등은) 일시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긴축적이냐 아니냐의 견해를 바꿀 그런 상황은 아니었다”고 언급했다.
가계부채 문제에 관해서는 “만약 현 수준에서 가계부채 절대액이 늘지 않는 정책을 펼치면 여러 문제가 생길 것”이라면서 “성장률은 낮아지고 오히려 금융 불안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가계부채 문제는 한두달로 판단 말고, 이번 정부가 끝날 때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얼마나 내려가는지 보고 판단해 달라”고 당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