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임금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44만2000명, 300만원이상이 31만3000명 순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 1년간 월평균 총소득을 보면 외국인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32.8%, 귀화허가자는 소득 없음이 29.9%로 높게 나타났다.
소득이 있는 외국인의 부문별 지출 비중을 보면, 생활비 39.4%, 국내외 송금 23.2% 순이었다. 한국 이외의 국가에 거주하는 가족이나 친인척에게 송금하는 외국인 비중은 37.5%로 전기대비 2.1%p 상승했다. 귀화허가자는 2.8%p 상승한 22.6%로 나타났다.
연간 해외송금액은 외국인은 2000만원 이상이 전기 대비 6.9%p 상승한 29.3%로 가장 높고, 귀화허가자는 100만~200만원 미만이 5%p 하락한 22.6%로 가장 높았다.
지난 1년간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한 외국인 비중은 13.5%로 전기와 비슷했다. 유형별로는 ‘병원비가 부담되어 진료를 받지 못했다.’는 응답이 35%로 가장 많았다.
한국어 실력은 외국인과 귀화허가자 모두 ‘매우 잘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과 귀화허가자는 주로 전월세에 거주했다. 전월세에 거주 중인 외국인은 59.2%, 귀화허가자는 40.7%였다. 월세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월세보증금은 300만원 미만이 29.6%로 가장 높고, 귀화허가자는 1000만~5000만 원 미만이 46.1%로 가장 높았다. 월세액은 30만~40만원 미만이 외국인 30.6%, 귀화허가자 25%로 가장 높았다.
외국인 경제활동참가율은 68.2%로 전년대비 0.6%p 상승했다. 귀화허가자는 70.7%로 2.5%p 증가했다. 외국인 취업자의 국적은 한국계중국 32만6000명, 베트남 10만4000명 순으로 많았다. 귀화허가자 취업자의 귀화 전 국적은 베트남 1만4000명, 한국계중국 1만2000명 순이었다.
외국인 비경제활동인구는 45만5000명으로 전기대비 3만3000명 증가했다. 사유별로는 육아가사, 정규교육기관 통학 순으로 많았다.
체류자격이 비전문취업인 외국인의 국적은 네팔과 캄보디아가 각각 14.5%, 베트남이 11.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을 해외취업지로 선택한 이유는 ‘임금이 높아서’가 72.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체류자격이 유학생인 외국인의 국적은 베트남 38.3%, 중국 27.7% 순이었다. 한국으로 유학을 온 이유는 ‘교육과정이 우수해서’가 30%로 가장 높고, ‘전공이 관심 분야와 잘 맞아서’가 21.9%로 그 뒤를 따랐다.
주전공 비중은 사회과학·언론·정보학·경영·행정 및 법이 28.8%로 가장 높고, 전기 대비 상승 폭은 어학연수가 4.6%p로 가장 컸다.
[세종=뉴시스]
좋아요
1개
슬퍼요
0개
화나요
1개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23-12-18 13:41:19
이민 확대는 바람직하지만, 외국 인력의 보호 및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유학생의 경우 취업 목적으로 와서 숨는 경우가 많다. 외국 정부의 책임감있는 신원보증을 요구해야 한다.
2023-12-18 20:56:54
대책없는 이민확대는 사회불안을 야기할것이다. 앞서 이민을 받았던 프랑스. 영국의 사회문제들을 심층검토해야한다. 언젠가는 그들이 뭉치게되고 선동하고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게 될것은 빤하다. 기반 노동이 넘어간 상태에서 국가는 꼼짝없이 그들의 요구대로 끌려가게 될것이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23-12-18 13:41:19
이민 확대는 바람직하지만, 외국 인력의 보호 및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유학생의 경우 취업 목적으로 와서 숨는 경우가 많다. 외국 정부의 책임감있는 신원보증을 요구해야 한다.
2023-12-18 20:56:54
대책없는 이민확대는 사회불안을 야기할것이다. 앞서 이민을 받았던 프랑스. 영국의 사회문제들을 심층검토해야한다. 언젠가는 그들이 뭉치게되고 선동하고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게 될것은 빤하다. 기반 노동이 넘어간 상태에서 국가는 꼼짝없이 그들의 요구대로 끌려가게 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