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김홍국 회장 “HMM 세계5위 키울것”
벌크선 위주 팬오션과 시너지 기대
승자의 저주-경기 침체는 리스크
하림그룹이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옛 현대상선)의 경영권을 인수한다. 이로써 머스크, MSC 등 글로벌 1, 2위 해운업체와 경쟁할 수 있는 체급을 갖춘 초대형 국적선사가 탄생하게 됐다. 다만 일각에선 하림이 덩치 큰 기업을 인수해 그룹의 재무상태가 취약해지는 ‘승자의 저주’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 6조4000억 원에 지분 인수
18일 HMM의 채권단인 KDB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HMM 경영권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림그룹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세부 조건에 대한 논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1∼6월)까지 거래를 마칠 계획이다. 산은 관계자는 “현재 거래 조건은 확정되지 않았으며 추후 협상에서 모든 것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림은 채권단이 보유한 HMM 지분 57.9%를 약 6조4000억 원에 인수한다. 8년 전 하림이 팬오션을 인수할 때 공동인수자로 참여했던 JKL파트너스가 이번에도 힘을 보탠다. 호반그룹은 팬오션이 발행 예정인 영구채를 사들이는 방식으로 측면 지원에 나선다.
지난달 23일 실시된 본입찰 이후 거래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하림이 사실상 우선협상자로 내정된 것으로 봤다. 채권단의 예정가격(예가) 이상을 써낸 곳이 하림 하나뿐이었기 때문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애초부터 동원그룹은 예가를 밑도는 가격을 적어내 우선협상자로 선정될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며 “채권단 입장에선 하림을 우선협상자로 선정하지 않으면 거래를 유찰시켰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HMM은 현재 컨테이너선 105척을 운항하고 있다. 총 79만 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로 세계 8위(시장점유율 2.9%) 선사다. 선복량(적재능력) 기준으로는 세계 8위 선사다. 하림그룹 계열사인 팬오션도 컨테이너선 9척을 갖고 있지만, 한중일이나 동남아시아를 오가는 소형 선박들이어서 모두 합쳐도 1만 TEU가 안 된다고 한다. 따라서 하림그룹이 HMM을 최종 인수해 팬오션과 합병하더라도 세계 순위가 오르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벌크선의 경우 팬오션(199척)이 HMM(34척)보다 훨씬 많아 해운 포트폴리오가 강화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 재계 13위 도약…‘승자의 저주’ 우려도
‘병아리 10마리’를 밑천으로 사업을 시작한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66)은 국내 최대 선사인 HMM을 품게 되면서 한국을 세계 5대 해운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는 세계 1위 곡물회사이자 대형 해운업체인 ‘카길’처럼 키우겠다는 꿈을 갖고 있다. 김 회장은 “HMM의 경쟁력을 높여 세계 8위에서 5위로 키우겠다”며 “팬오션 인수 경험을 토대로 기간산업인 해운업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하림그룹은 M&A를 그룹의 핵심 성장 전략으로 삼고 있다. 2001년 천하제일사료를 계열사로 편입한 이래 2007년 선진, 2008년 팜스코를 인수했다. 특히 2015년에는 HMM 인수의 주체가 되는 해운사 팬오션을 인수했다. 이후 팬오션은 그룹 매출 절반을 넘는 효자 계열사로 성장하며 하림의 덩치를 키웠다.
하림그룹은 팬오션에 이어 HMM까지 품에 안으며 국내 해운업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하림 측은 벌크선 분야 1위 업체인 팬오션과 컨테이너선이 주력인 HMM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본계약이 마무리되면 현재 재계 순위 27위인 하림그룹의 자산은 17조910억 원에 HMM(25조8000억 원)을 더해 약 43조 원으로 불어나게 된다. 이 경우 재계 순위는 13위로 뛰며 CJ그룹(40조7000억 원)을 넘어선다.
다만 무리한 인수합병으로 인한 ‘승자의 저주’ 리스크가 남아있는 점은 불안 요소다. 하림그룹의 자산이 HMM보다 적은 데다 6조 원이 넘는 이번 인수금액도 무리한 투자라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하림그룹이 곧바로 시너지를 기대하기에는 해운 경기 침체도 넘어야 할 산이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5일 기준 1093.52로 지난해 1월 7일 5109.6의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져 있다. 이 지수는 올해 1월 초 1100 선 아래로 내려온 후 900∼1100 사이를 횡보하고 있다. 프랑스 해운·조선 분석기관 알파라이너는 내년 컨테이너선 공급은 올해보다 8.2% 늘어나지만, 수요 증가율은 1.4%로 전망했다. 신규 컨테이너선들의 대량 공급과 운임 하락 등으로 2030년까지 장기 침체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