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物流)는 한자로 물자가 흐른다는 뜻이며 제품이나 서비스가 생산돼 소비자에게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말한다. 물류는 막힘없이 흘러가야 그 의미를 다한다.
항만배후단지는 주로 자유무역지역으로서 ‘자유무역지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자유무역지역법)’을 근거로 한다. 항만배후단지에 입주한 물류기업은 수입한 원재료로 제품을 생산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싶지만 현실에서는 여러 규제로 인해 애로 사항이 많은 실정이다. 물류기업이 환적 화물의 단순 조립, 절단, 통조림 제작 등 HS코드가 변경될 경우 수출 비중 충족, 별도 공장 등록, 제조업 허가 등이 필요해 물류기업의 고부가가치 활동에 제약이 있다.
일례로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커피 원두 총 18만1503t의 약 93%인 17만1329t이 부산항으로 들어왔다. 이렇게 들어온 생두는 가공업체가 몰려 있는 수도권에 올라가 가공 포장 후 다시 부산으로 내려오는 상황으로 추가 물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항만배후단지 내 원두 수입 업체는 물류업으로 등록돼 있어 원두를 직접 가공해 수출할 수 없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단순 보관 중심의 물류업만으로는 기업의 수익성 저하와 기업 간 출혈경쟁이 예상된다. 이를 해소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항만배후단지의 전반적인 입지 정책의 대전환을 통해 부산항을 커피 원두를 역수출하는 거점으로 성장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산업의 트렌드를 파악해 불필요한 규제는 개혁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경자청의 책무이자 역할이라 생각한다.
경자청은 올해 와성지구의 물류 용지 부족 문제 해소와 미래지향적 고부가가치를 위해 기존의 제조업에 물류 유치 업종을 추가해 산업의 융복합이 가능한 구조로 전환시켜 직구에서 역직구까지 가능하게 했다. 하나의 지구 안에서 제조와 물류가 동시에 가능한 전례 없는 변모를 한 것이다. 물류와 제조, 가공을 연계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면 이는 단순한 물자의 흐름이 아닌 거대한 폭포가 될 것이라 본다. 물류가 흘러간 자리에는 배후단지 부가 물류 활성화를 통한 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 지역의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효과가 남을 것이다.
앞으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은 동북아시아 최고의 핵심 물류 허브가 될 것이다. 대한민국 물류의 시작점으로 거대한 물길을 일으켜 나갈 앞날을 기대해 본다.
댓글 0